파멥신이 글로벌제약사에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의 기술이전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파멥신은 온라인으로 열린 ‘2020 바이오USA’에 참여해 글로벌제약사들과 파멥신 신약 후보물질에 관한 정보공유와 기술이전 논의에 집중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파멥신 관계자는 “유럽 기업에서 재발성 뇌종양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혈관성장인자 수용체-2(VEGF-2) 목표 항체 ‘올린바시멥(TTAC-0001)’에 큰 관심을 보였다”며 “현재 유럽은 뇌종양 가운데 하나인 교모세포종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 없어 관련 치료제 개발에 욕구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파멥신 관계자는 또 “다수의 글로벌제약사와 바이오회사가 파멥신의 핵심기술 가운데 하나인 ‘PMC-402’와 ‘PMC-403’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며 “향후 기술이전에 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기로 합의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PMC-402와 PMC-403은 파멥신이 개발하고 있는 항암 및 질환성 혈관 치료용 후보물질이다. 질환성 혈관의 정상화를 통해 암, 황반변성, 당뇨성 망막증, 코로나 감염성 중증 호흡기질환 등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물질이다.
파멥신은 우선 PMC-402의 글로벌 임상1상을 2021년에 시작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PMC-402의 임상시료 생산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전담하고 있다.
박현선 파멥신 사업개발부 전무는 “이번 바이오USA 참여로 파멥신에 관한 여러 글로벌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파멥신의 신약 후보물질에 관한 기대와 추가적으로 원하는 데이터들을 파악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
파멥신은 온라인으로 열린 ‘2020 바이오USA’에 참여해 글로벌제약사들과 파멥신 신약 후보물질에 관한 정보공유와 기술이전 논의에 집중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 유진산 파멥신 대표이사.
파멥신 관계자는 “유럽 기업에서 재발성 뇌종양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혈관성장인자 수용체-2(VEGF-2) 목표 항체 ‘올린바시멥(TTAC-0001)’에 큰 관심을 보였다”며 “현재 유럽은 뇌종양 가운데 하나인 교모세포종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 없어 관련 치료제 개발에 욕구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파멥신 관계자는 또 “다수의 글로벌제약사와 바이오회사가 파멥신의 핵심기술 가운데 하나인 ‘PMC-402’와 ‘PMC-403’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며 “향후 기술이전에 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기로 합의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PMC-402와 PMC-403은 파멥신이 개발하고 있는 항암 및 질환성 혈관 치료용 후보물질이다. 질환성 혈관의 정상화를 통해 암, 황반변성, 당뇨성 망막증, 코로나 감염성 중증 호흡기질환 등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물질이다.
파멥신은 우선 PMC-402의 글로벌 임상1상을 2021년에 시작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PMC-402의 임상시료 생산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전담하고 있다.
박현선 파멥신 사업개발부 전무는 “이번 바이오USA 참여로 파멥신에 관한 여러 글로벌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파멥신의 신약 후보물질에 관한 기대와 추가적으로 원하는 데이터들을 파악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