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이 서울 도심지 공사현장 가림막(펜스)에 유명화가들의 작품을 전시해 시민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10일 보도자료를 내고 개포우성9차 리모델링 현장, 신길3구역 재건축 현장, 논현동 공동주택 현장 등 3개 현장 가림막에 고흐의 '해바라기', 클림트의 '연인 등이 인쇄된 '포스아트' 강판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포스아트는 고해상도 잉크젯프린트 강판이다. 포스코에서 개발한 고내식성 강재인 ‘포스맥(PosMAC)’에 컬러강판 전문계열사인 포스코강판의 잉크젯프린팅 기술이 적용됐다.
일반 프린트 강판보다 4배 이상 높은 해상도를 지니고 있는 데다 대리석, 나무, 섬유 등 다양한 무늬와 질감을 철판 위에 구현할 수 있다. 오피스 및 아파트 등 건물 내·외장재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포스아트를 건설현장에 설치하고 난 뒤 건설현장을 지나가는 시민들이 잠시 멈춰 명화를 감상하거나 사진을 찍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현장 주변의 이웃들에게 깨끗하면서도 감성적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 활동`의 일환으로 ‘위드 포스코(With POSCO) 갤러리’를 설치했다"며 "코로나19로 침체된 도심에 활력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
포스코건설은 10일 보도자료를 내고 개포우성9차 리모델링 현장, 신길3구역 재건축 현장, 논현동 공동주택 현장 등 3개 현장 가림막에 고흐의 '해바라기', 클림트의 '연인 등이 인쇄된 '포스아트' 강판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 개포우성9차 리모델링 현장에 설치된 포스아트의 모습. <포스코건설>
포스아트는 고해상도 잉크젯프린트 강판이다. 포스코에서 개발한 고내식성 강재인 ‘포스맥(PosMAC)’에 컬러강판 전문계열사인 포스코강판의 잉크젯프린팅 기술이 적용됐다.
일반 프린트 강판보다 4배 이상 높은 해상도를 지니고 있는 데다 대리석, 나무, 섬유 등 다양한 무늬와 질감을 철판 위에 구현할 수 있다. 오피스 및 아파트 등 건물 내·외장재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포스아트를 건설현장에 설치하고 난 뒤 건설현장을 지나가는 시민들이 잠시 멈춰 명화를 감상하거나 사진을 찍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현장 주변의 이웃들에게 깨끗하면서도 감성적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 활동`의 일환으로 ‘위드 포스코(With POSCO) 갤러리’를 설치했다"며 "코로나19로 침체된 도심에 활력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