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이 기업의 행동방식을 분석해 부정대출 여부를 알아내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우리은행은 21일 ‘기업 부정대출 탐지시스템’을 여신심사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여신심사 과정에서 기업 차주의 문서위조, 허위매출, 자금용도 유용 등으로 부실여신이 자주 발생하면서 부정대출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우리은행은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정보 및 신용평가사가 제공하는 정보 등을 은행의 기업진단시스템과 연동해 기업통합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다.
기업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여수신, 신용공여, 외환 등 6개 분야의 15개 기업 행동방식을 분석한다. 부정대출의 위험도를 상중하 3단계로 나눠 여신심사에 활용한다.
기업의 개폐업 반복, 대표이사의 빈번한 교체 및 이력, 출금의 용도 외 유용, 허위매출 등의 이상 징후를 발견하면 여신 담당자에게 통지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신규 부정대출 경향의 시스템 반영, 주기적 업데이트, 여신 단계별 모니터링으로 사기 및 부정대출을 방지할 것”이라며 “은행의 수익성 및 평판 리스크 관리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
우리은행은 21일 ‘기업 부정대출 탐지시스템’을 여신심사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 우리은행은 21일 ‘기업 부정대출 탐지시스템’을 내놨다고 밝혔다. <우리은행>
여신심사 과정에서 기업 차주의 문서위조, 허위매출, 자금용도 유용 등으로 부실여신이 자주 발생하면서 부정대출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우리은행은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정보 및 신용평가사가 제공하는 정보 등을 은행의 기업진단시스템과 연동해 기업통합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다.
기업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여수신, 신용공여, 외환 등 6개 분야의 15개 기업 행동방식을 분석한다. 부정대출의 위험도를 상중하 3단계로 나눠 여신심사에 활용한다.
기업의 개폐업 반복, 대표이사의 빈번한 교체 및 이력, 출금의 용도 외 유용, 허위매출 등의 이상 징후를 발견하면 여신 담당자에게 통지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신규 부정대출 경향의 시스템 반영, 주기적 업데이트, 여신 단계별 모니터링으로 사기 및 부정대출을 방지할 것”이라며 “은행의 수익성 및 평판 리스크 관리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