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지주가 이자이익 감소로 1분기 순이익이 줄었다.
지난해 1분기 실적에 반영했던 일회성 이익이 소멸되고 금리 하락으로 DGB대구은행의 이자이익도 감소하면서 수익성에 악영향을 받았다.
DGB금융지주는 2020년 1분기에 지배주주 순이익 882억 원을 냈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15% 줄었다.
DGB금융지주 관계자는 "지난해 1분기에 발생했던 약 100억 원의 일회성이익 소멸 효과와 코로나19 사태로 급격하게 하락한 금리가 원인"이라고 말했다.
수익성과 자본 건전성 모두 나빠졌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 이익률(ROA)은 1분기말 기준 0.48%로 지난해 1분기말보다 0.14%포인트 낮아졌고 자기자본 이익률(ROE)은 7.53%로 1.96%포인트 하락했다.
대구은행 순이익은 이자이익 감소 영향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0.4% 감소한 787억 원에 그쳤다.
하지만 대구은행 원화대출금은 1분기 말 기준으로 직전 분기와 비교해 5% 늘었고 자산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 여신(NPL)비율은 1년 전보다 0.1%포인트, 연체율은 0.04%포인트 개선됐다.
DGB금융지주 비은행 자회사도 전반적으로 부진한 실적을 봤다.
하이투자증권 1분기 순이익은 156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6% 줄었다.
DGB생명 순이익은 92억 원으로 같은 기간 6.1%, DGB캐피탈 순이익은 76억 원으로 8.4% 각각 감소했다.
DGB자산운용 순이익은 6억 원에 그쳐 지난해 1분기보다 40% 줄었다.
DGB금융그룹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내외 경제상황에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자본 적정성과 건전성 관리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지난해 1분기 실적에 반영했던 일회성 이익이 소멸되고 금리 하락으로 DGB대구은행의 이자이익도 감소하면서 수익성에 악영향을 받았다.

▲ 김태오 DGB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 겸 대구은행장.
DGB금융지주는 2020년 1분기에 지배주주 순이익 882억 원을 냈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15% 줄었다.
DGB금융지주 관계자는 "지난해 1분기에 발생했던 약 100억 원의 일회성이익 소멸 효과와 코로나19 사태로 급격하게 하락한 금리가 원인"이라고 말했다.
수익성과 자본 건전성 모두 나빠졌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 이익률(ROA)은 1분기말 기준 0.48%로 지난해 1분기말보다 0.14%포인트 낮아졌고 자기자본 이익률(ROE)은 7.53%로 1.96%포인트 하락했다.
대구은행 순이익은 이자이익 감소 영향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0.4% 감소한 787억 원에 그쳤다.
하지만 대구은행 원화대출금은 1분기 말 기준으로 직전 분기와 비교해 5% 늘었고 자산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 여신(NPL)비율은 1년 전보다 0.1%포인트, 연체율은 0.04%포인트 개선됐다.
DGB금융지주 비은행 자회사도 전반적으로 부진한 실적을 봤다.
하이투자증권 1분기 순이익은 156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6% 줄었다.
DGB생명 순이익은 92억 원으로 같은 기간 6.1%, DGB캐피탈 순이익은 76억 원으로 8.4% 각각 감소했다.
DGB자산운용 순이익은 6억 원에 그쳐 지난해 1분기보다 40% 줄었다.
DGB금융그룹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내외 경제상황에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자본 적정성과 건전성 관리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