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확산으로 위축된 선박 발주시장이 다시 열리면 현대미포조선이 최대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됐다.
최광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코로나19가 글로벌 확산세를 보이기 전까지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과 LPG(액화석유가스)운반선은 선박 발주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됐다”며 “코로나19가 끝나 경제활동이 재개된다면 현대미포조선의 수주 모멘텀이 가장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석유화학제품운반선과 LPG운반선은 모두 현대미포조선이 주로 건조하는 선박들이다.
특히 석유화학제품운반선은 현대미포조선을 대표하는 선박 종류다. 현대미포조선은 올해 들어 1분기 말 기준으로 선박 14척을 수주했는데 모두 석유화학제품운반선이다.
최근 육상의 원유 저장고가 포화상태(탱크톱)에 가까워지고 있어 부유식 저장고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뿐만 아니라 석유화학제품운반선까지 투입될 정도로 선박 수요가 많다.
최 연구원은 선박 발주시장이 다시 열리면 현대미포조선이 2월까지 선박 발주처들과 화상회의를 통해 진행해 온 계약 논의들을 빠르게 수주로 연결해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배세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가 끝난 뒤 LPG운반선 발주가 늘어날 가능성에도 주목했다.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LPG운반선의 인도비율(선박 인도량을 선복량으로 나눈 수치)은 3% 미만으로 2012년 이후 최저치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배 연구원은 “글로벌 LPG 수요와 상관없이 LPG운반선의 발주상황은 개선될 것”이라며 “수요 개선이 뒤따른다면 LPG운반선의 대규모 발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최광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코로나19가 글로벌 확산세를 보이기 전까지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과 LPG(액화석유가스)운반선은 선박 발주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됐다”며 “코로나19가 끝나 경제활동이 재개된다면 현대미포조선의 수주 모멘텀이 가장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 신현대 현대미포조선 대표이사 사장.
석유화학제품운반선과 LPG운반선은 모두 현대미포조선이 주로 건조하는 선박들이다.
특히 석유화학제품운반선은 현대미포조선을 대표하는 선박 종류다. 현대미포조선은 올해 들어 1분기 말 기준으로 선박 14척을 수주했는데 모두 석유화학제품운반선이다.
최근 육상의 원유 저장고가 포화상태(탱크톱)에 가까워지고 있어 부유식 저장고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뿐만 아니라 석유화학제품운반선까지 투입될 정도로 선박 수요가 많다.
최 연구원은 선박 발주시장이 다시 열리면 현대미포조선이 2월까지 선박 발주처들과 화상회의를 통해 진행해 온 계약 논의들을 빠르게 수주로 연결해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배세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가 끝난 뒤 LPG운반선 발주가 늘어날 가능성에도 주목했다.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LPG운반선의 인도비율(선박 인도량을 선복량으로 나눈 수치)은 3% 미만으로 2012년 이후 최저치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배 연구원은 “글로벌 LPG 수요와 상관없이 LPG운반선의 발주상황은 개선될 것”이라며 “수요 개선이 뒤따른다면 LPG운반선의 대규모 발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