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 기업이 힘을 모아 석박사급 시스템반도체 인력을 대거 양성한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바이오·의료 등 신산업 분야의 차세대 반도체 개발과 시장 선점을 이끌 인재 배출이 기대된다.
 
서울대 성균관대 포스텍 반도체 인력양성,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참여

▲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서울대, 성균관대, 포스텍이 주관하는 3개 컨소시엄을 시스템반도체 융합전문인력 육성사업을 수행할 기관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서울대 컨소시엄은 인공지능 반도체 인력양성센터로 선정돼 자율주행차, 의료기기, 영상처리 등 분야에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건국대, 서울과기대 등 7개 대학과 넥스트칩, 퓨리오사AI 등 5개 기업이 참여해 석사 100명, 박사 40명을 양성한다.

성균관대 컨소시엄은 사물인터넷 반도체 인력양성 센터로 선정됐다. 센서 및 신호처리, 메모리, 보안 등 7개 분야에서 프로젝트 기반 교육(PBL)을 추진하며 경기·충청권의 연구소와 연계해 협력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한양대, 경희대 등 5개 대학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실리콘웍스, LS산전 등 28개 기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북도청 등 7개 연구소·지자체가 참여한다. 석사 130명, 박사 50명 이상을 양성한다.

포스텍 컨소시엄은 바이오메디컬 반도체 인력양성 센터에 선정돼 바이오메디컬분야 센서 및 소자, 회로설계, 시스템설계 등의 특화 전공을 제공한다. 논문 100편, 특허 45건 등의 연구성과 목표도 세웠다.

경북대, 부산대, 카이스트 등 4개 대학과 SK하이닉스, 실리콘웍스 등 19개 기업이 참여해 석사 105명, 박사 55명을 양성한다.

3개 센터는 9월에 학기를 시작해 2025년까지 6년 동안 석사 335명, 박사 145명 등 모두 480명의 인력을 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매년 16억 원씩 모두 96억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시스템 반도체는 고급인력이 경쟁력을 좌우한다”며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핵심인재가 체계적으로 양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