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들이 코로나19 확산으로 2분기에 큰 경제적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증권사 모건스탠리가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17일 모건스탠리 분석을 인용해 "아시아 대부분의 국가는 코로나19와 관련해 2분기에 가장 큰 경제적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하지만 중국은 최악의 상황을 지났다"고 보도했다.
 
모건스탠리 "코로나19 경제적 타격 2분기 정점, 중국은 이미 회복세"

▲ 중국 베이징의 증권사 객장.


모건스탠리는 거의 모든 아시아 국가에서 2개 분기 연속으로 국내총생산(GDP)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직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사업장 폐쇄 등 조치가 여러 국가에서 이뤄지고 있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1분기 국내총생산이 직전 분기보다 감소했지만 2분기에는 국내총생산을 1분기보다 1.5% 늘리며 아시아에서 가장 일찍 경제를 회복세로 돌릴 것으로 전망됐다.

모건스탠리는 "중국은 1분기에 최악의 상황을 겪은 뒤 회복하고 있다"며 "이미 대부분의 산업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의 75~95% 수준까지 정상화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의 2분기 국내총생산 총합은 1분기와 비교해 3.8%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모건스탠리는 하반기에도 큰 폭의 경제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될 때까지 사회적 거리두기조치가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경제 회복속도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