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선해양이 코로나19에도 순조로운 선박 건조로 1분기 영업이익이 대폭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됐다.

박경근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한국조선해양은 1분기 코로나19와 저유가 등 리스크가 모두 제한적으로 작용했다”며 “수주산업 특성상 매출은 잔고에서 발생하며 코로나19에 따른 선박 건조 지연이 없었다”고 분석했다.
 
한국조선해양, 코로나19에도 선박 건조 순조로워 1분기 영업이익 양호

▲ 가삼현 한국조선해양 대표이사 사장.


한국조선해양은 2020년 1분기 매출 3조7031억 원, 영업이익 688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산됐다.

2019년 1분기보다 매출은 13.1% 늘고 영업이익은 144.8% 급증한 것이다.

영업이익 688억 원은 시장 기대치인 703억 원을 2.1% 밑도는 수치다.

한국조선해양은 1분기 상선 건조물량이 늘고 평균환율이 올라 이익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조선해양은 2020년 하반기 선박 수주 전망도 나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 말 네덜란드 에너지회사 로열더치쉘(쉘)과 LNG(액화천연가스)운반선 6척, 프랑스 에너지회사 토탈과 LNG운반선 8~10척의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해 뒀다.

박 연구원은 “계속되는 선박 발주 가뭄으로 조선사의 선복량 대비 수주잔고와 같은 선박 발주지표가 우호적으로 형성돼 있다”며 “코로나19 사태가 끝나면 이연됐던 발주가 하반기에 쏟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