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은 재계에서 범 롯데가로 분류된다.
신춘호 농심그룹 회장이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의 둘째 동생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농심은 범 롯데가이지만 보여주는 모습은 롯데그룹과 크게 대비된다.
롯데그룹이 형제간 경영권 분쟁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반면, 농심은 일찌감치 장남 중심으로 경영권 승계를 끝냈기 때문이다.
◆ 장남 중심의 경영권 승계 완성
신격호 총괄회장은 90세가 넘도록 그룹의 후계구도를 마무리짓지 못해 결과적으로 ‘골육상쟁’의 단초를 제공했다.
![]() |
||
▲ 신춘호 농심그룹 회장. |
신 회장은 3남2녀의 자식을 두고 있는데 누구에게 회사를 맡기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적은 없다.
신 회장은 20년 전부터 업무를 차별화하고 지주사인 농심홀딩스 지분을 차등배분하는 방식으로 후계구도를 정리했다.
신 회장의 세 아들은 대학졸업 뒤 모두 농심에 입사해 경영수업을 받았지만 지금은 서로 다른 회사를 맡아 각자경영하고 있다.
농심그룹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농심은 장남인 신동원 부회장이 맡고 있다. 신 부회장은 1979년 농심에 사원으로 입사한 뒤 2000년부터 대표이사 부회장에 올랐다.
차남인 신동윤 부회장은 1983년 농심에 들어간 뒤 1989년 계열사 율촌화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2000년 율촌화학 대표이사 사장을 거쳐 2006년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삼남 신동익 부회장은 1984년 농심에 입사한 뒤 1992년 농심가(현 메가마트) 대표이사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2002년 그룹 인사 때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신동원 부회장과 신동윤 부회장은 10분 간격으로 태어나 일란성 쌍둥이인데 장남과 차남은 아버지의 결정에 순순이 따랐고 형제 사이도 매우 좋은 것으로 전해졌다.
신 회장은 회사만 나눈 것이 아니라 지분도 차등해 배분했다.
농심그룹은 2003년 지주사인 농심홀딩스를 설립했는데 장남인 신동원 부회장이 지분 36.88%로 최대주주다.
차남인 신동윤 부회장은 지분 19.69%를 보유하고 있고 삼남인 신동익 부회장은 아예 지분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
◆ ‘짜왕’ 출시 4개월 만에 주가 11만원 상승
짜왕은 지난 4월 시장에 선보인 뒤 출시 2개월 만에 매출 220억원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 두 달 동안 매출만으로 올 상반기 전체 라면시장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짜왕의 ‘히트’는 신동원 부회장이 내세운 고가프리미엄, 굵은 면발 전략이 통했기 때문이다.
![]() |
||
▲ 짜왕의 TV 광고모델인 개그맨 정형돈씨. |
농심 주가는 지난 4월20일 24만4500원이었으나 31일 35만8천 원으로 뛰었다.4개월 만에 11만원이나 오른 것이다.
신춘호 회장은 형인 신격호 총괄회장과 현재 전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형제 갈등의 발단은 196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 회장은 당시 일본롯데 이사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신 총괄회장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라면사업에 뛰어들었다.
신 회장은 1965년 아예 ‘롯데공업’을 차리며 기존 롯데의 라면사업과 경쟁을 벌이자 형제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그 뒤 신 회장이 롯데공업을 농심으로 개명하면서 형제는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
형제의 앙금은 지금까지도 깊어 신 회장은 부친의 제사에 일절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은 신동주 신동빈 형제가 경영권 싸움을 벌일 때에도 ‘롯데 일은 남의 집안 일’이라며 확실히 선을 그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재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