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4자 대표회의가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가운데 참석들이 회의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장, 김대환 노사정위원장,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뉴시스> |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가 4개월 만에 재가동에 들어갔다.
노사정위원회는 이른 시일 안에 노동시장 개혁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자는 원칙에 합의했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 김대환 노사정위원장 등은 27일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만났다.
이들은 4월 중단된 회의 연장선상에서 노사정위 논의를 이어가되 국회 일정을 감안해 매일 간사 회의를 개최하고 대표자 회의도 수시로 열어 최대한 빨리 합의를 이뤄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난번 실무자 4명, 노동시장구조개선특별위원회 간사 4명으로 구성됐던 8인 연석회의는 실무자 대신 대표자 4인을 추가한 ‘4+4’체제로 바꾸기로 했다.
간사위원회는 이병균 한국노총 사무총장, 이동응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 고용선 고용노동부 차관, 최영기 노사정위원회 상임위원으로 구성된다.
노사정위는 공공부문 현안 논의를 위해 원포인트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공공 부문 임금피크제를 노사정 협의 과정을 거칠 것을 주장한 한국노총 측 주장을 수용한 것이다.
정부는 9월10일을 노사정 대타협의 마지노선으로 잡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기권 장관은 “국회 입법화를 위한 숙려기간 45일을 감안하면 오는 9월 말 타결은 늦다”며 “험로가 예상되지만 9월10일 전후로 사회적 대타협을 이뤄내야 한다”고 밝혔다.
김대환 위원장은 “노동시장 개혁과제는 조직논리보다 역사적인 필요성을 생각해 보편논리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재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