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켐생명과학이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분야 전문가를 영입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신약물질 EC-18의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연구개발 역량 강화와 간질환 관련 적응증의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 확장을 위해 비알콜성 지방간염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마이클 찰튼 미국 시카고의대 교수를 신약 개발 과학기술자문위원으로 영입했다고 3일 밝혔다.
찰튼 교수는 NASH-TAG(NASH 치료제) 콘퍼런스를 이끌고 있는 비알콜성 지방간염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손꼽힌다.
현재 시카고 의과대학 간질환센터 교수 겸 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독보적 연구업적으로 ‘미국 최상(Top) 의사 리스트’와 ‘미국 최고(Best) 의사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찰튼 교수는 임상 간질환 및 위장질환 학술지의 편집 책임자, 미국 국립보건원(NIH) 지원 연구 책임연구원 및 선정위원, NASH 및 발병기전에 대한 연구도 수행했다.
미국 간학회(AASLD)에서 NASH와 C형 간염 두 분야에서 패널로 활동하는 의사는 찰튼 교수가 유일하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찰튼 교수가 EC-18의 작용기전을 검토한 결과, 글로벌 임상2상 개발 잠재력과 가능성을 높게 평가해 엔지켐생명과학 신약 개발 과학기술자문단에 합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비알콜성지방간염은 방치하면 간암(HCC)으로 이어질 수 있는 치명적 질병이다. C형 간염에 이어 두 번째로 간이식 빈도가 높은 질병이지만 글로벌 제약사들도 아직까지 효과적 치료제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손기영 엔지켐생명과학 대표이사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현재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세계 바이오업계가 60조 원 규모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시장을 주목하고 있다”며 “찰튼 교수가 과학기술자문단에 합류함에 따라 EC-18의 기술이전과 췌장 베타세포 보호 적응증 확장에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기자]
엔지켐생명과학은 신약물질 EC-18의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연구개발 역량 강화와 간질환 관련 적응증의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 확장을 위해 비알콜성 지방간염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마이클 찰튼 미국 시카고의대 교수를 신약 개발 과학기술자문위원으로 영입했다고 3일 밝혔다.

▲ 마이클 찰튼 미국 시카고의대 교수.
찰튼 교수는 NASH-TAG(NASH 치료제) 콘퍼런스를 이끌고 있는 비알콜성 지방간염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손꼽힌다.
현재 시카고 의과대학 간질환센터 교수 겸 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독보적 연구업적으로 ‘미국 최상(Top) 의사 리스트’와 ‘미국 최고(Best) 의사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찰튼 교수는 임상 간질환 및 위장질환 학술지의 편집 책임자, 미국 국립보건원(NIH) 지원 연구 책임연구원 및 선정위원, NASH 및 발병기전에 대한 연구도 수행했다.
미국 간학회(AASLD)에서 NASH와 C형 간염 두 분야에서 패널로 활동하는 의사는 찰튼 교수가 유일하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찰튼 교수가 EC-18의 작용기전을 검토한 결과, 글로벌 임상2상 개발 잠재력과 가능성을 높게 평가해 엔지켐생명과학 신약 개발 과학기술자문단에 합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비알콜성지방간염은 방치하면 간암(HCC)으로 이어질 수 있는 치명적 질병이다. C형 간염에 이어 두 번째로 간이식 빈도가 높은 질병이지만 글로벌 제약사들도 아직까지 효과적 치료제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손기영 엔지켐생명과학 대표이사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현재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세계 바이오업계가 60조 원 규모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시장을 주목하고 있다”며 “찰튼 교수가 과학기술자문단에 합류함에 따라 EC-18의 기술이전과 췌장 베타세포 보호 적응증 확장에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