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0%는 금융서비스 '불만족', 70%는 금융사 윤리의식 '부족'

▲ 국민 10명 가운데 3명은 금융서비스에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10명 가운데 3명은 금융서비스에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금융위원회가 한국갤럽에 의뢰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45명의 30.5%가 금융상품 및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불만족스럽고 불합리한 처우를 받았다고 대답했다.

이해하기 힘든 약관이나 상품설명서(88.7%), 과도한 서류 요청(85.3%), 과도한 대기시간(65.7%), 불충분한 설명(77.5%) 등이 부정적 인식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금융회사가 소비자 보호에 노력한다’고 본 응답자는 전체의 37.9%로 전년(37.7%)과 거의 같았다.

금융회사의 윤리의식이 충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이 73.9%로 나타났다. 전년 조사의 68.4%보다 5.5%포인트나 상승한 것으로 지난해 불거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최근의 라임 사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정부가 소비자 보호에 노력한다’는 응답률은 59.5%로 ‘노력하지 않는다’는 응답률(40.5%)보다 높았다. 지난해의 긍정적 응답(56.1%)보다도 소폭 증가했다.

금융위는 정부를 향한 국민의 인식이 단기간에 변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의미있는 변화라고 평가했다. 

응답자의 45.4%는 금융당국이 소비자 보호를 위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체라고 대답했다. 소비자 보호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공정하고 이해하기 쉬운 약관’(54.5%), ‘상품정보 적정 제시’ (47.9%) 등을 꼽았다.

응답자 대다수(81.1%)가 인터넷·스마트폰 금융이 어렵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나 고령자로 갈수록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아졌다.

또 응답자의 80.5%가 금융회사의 광고가 과장되고 왜곡됐다고 평가했다. 지난 조사의 60.7%에서 19.8포인트%나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연령과 지역, 성별로 비례 배분해 임의로 추출한 전국 만 19세부터 69세까지의 국민 104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약관 및 상품설명서 개선을 통해 수익률 등 상품정보를 정확하게 제시하고 광고 개선, 제재·분쟁 조정 등 적극적 사후구제를 통한 신뢰 형성에 금융당국이 앞장설 필요가 있다”며 “현재 추진 중인 다양한 금융소비자 보호정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홍보·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