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11월부터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 전기 공유자전거를 운영한다.
울산시청은 11월1일부터 전기 공유자전거의 운영대수와 서비스지역을 확대해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운영대수는 시범기간에 운영했던 400대에서 600대로 늘어난다.
서비스범위는 사업 준비단계에서 계획했던 중구·남구·북구 중심지역과 울주군 굴화리지역에 울산시 북구 송정동지역이 추가된다.
전기 공유자전거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카카오T’를 설치한 뒤 가까운 자전거 위치를 검색해 이용할 수 있다.
최초 15분 요금은 기본요금 1천 원, 보험료 130원을 더해 1130원으로 책정됐다. 이후 5분마다 500원이 추가된다. 처음 가입할 때는 보증금 1만 원을 내야 한다.
울산시는 시민 부담을 덜기 위해 정액권, 정기권 등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이번 정식 운영에 앞서 9월4일~10월27일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시범사업 기간에 하루 평균 1388명이 공유자전거를 이용했다. 이용목적은 통학, 관광, 레저 등으로 파악됐다.
울산시 관계자는 “시범사업 기간에 시민들은 서비스 범위와 운행대수 확대를 주로 요구하는 등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며 “앞으로 주요 거점 40여 곳에 주차지역을 설치해 시민이 편리하게 공유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울산시청은 11월1일부터 전기 공유자전거의 운영대수와 서비스지역을 확대해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 송철호 울산시장(왼쪽)과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
운영대수는 시범기간에 운영했던 400대에서 600대로 늘어난다.
서비스범위는 사업 준비단계에서 계획했던 중구·남구·북구 중심지역과 울주군 굴화리지역에 울산시 북구 송정동지역이 추가된다.
전기 공유자전거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카카오T’를 설치한 뒤 가까운 자전거 위치를 검색해 이용할 수 있다.
최초 15분 요금은 기본요금 1천 원, 보험료 130원을 더해 1130원으로 책정됐다. 이후 5분마다 500원이 추가된다. 처음 가입할 때는 보증금 1만 원을 내야 한다.
울산시는 시민 부담을 덜기 위해 정액권, 정기권 등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이번 정식 운영에 앞서 9월4일~10월27일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시범사업 기간에 하루 평균 1388명이 공유자전거를 이용했다. 이용목적은 통학, 관광, 레저 등으로 파악됐다.
울산시 관계자는 “시범사업 기간에 시민들은 서비스 범위와 운행대수 확대를 주로 요구하는 등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며 “앞으로 주요 거점 40여 곳에 주차지역을 설치해 시민이 편리하게 공유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