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원격 상수도 검침시스템을 운영한 결과 누수 조기 발견, 시민 사생활 보장, 검침 투명성 확보 등 긍정적 효과를 거둔 것으로 파악됐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구시는 스마트시티를 선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국 최초로 상수도 스마트 검침시스템을 운영해 왔다”며 “앞으로 더 효과 있는 시민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시 '스마트 상수도 검침' 운영해 효과, 권영진 "스마트시티 선도"

권영진 대구시장.


대구시는 2017년 3월 달성군 가창면 일대 상수도 계량기 1697개를 대상으로 스마트 검침시스템을 설치했다. 2019년 들어 중구 지역에서도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 검침시스템을 사용하면 수도관에 물이 샜을 때 1~4일 이내에 누수를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반 상수도는 2개월마다 정기검침을 할 때 누수 발견이 가능하다.

스마트 검침시스템으로 직접 방문에 따른 부작용도 해소됐다. 검침원이 직접 세대를 방문해 점검했을 때는 사생활 침해 및 거주자 부재에 따른 재방문 등의 문제가 있었다. 

물 사용량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기존 계량기는 일정 기간 물 사용량을 단순 합산해 나타내지만 스마트 검침시스템은 특정한 날짜를 두고 물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스마트 검침시스템을 통해 수도요금을 투명하게 부과할 수 있게 됐다”며 “2020년부터 스마트 검침시스템을 더 확대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