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인보사(인보사케이주) 사태’와 관련한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코오롱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23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2부(권순정 부장검사)는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코오롱 본사를 압수수색해 인보사 개발 관련자료를 확보했다.
검찰은 코오롱 측이 인보사의 성분이 바뀐 것을 알고도 인보사를 판매했다는 의혹과 시판을 위한 허가 절차 및 계열사 상장을 진행했다는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
인보사는 주사액 형태의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로 코오롱티슈진이 개발하고 코오롱생명과학이 판매를 맡았다.
사람의 연골세포가 담긴 1액과 연골세포 성장인자를 도입한 형질전환 세포가 담긴 2액으로 구성됐다.
지난 2017년 코오롱은 인보사의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최근 2액의 형질전환 세포가 허가 당시 제출한 자료에 기재된 것과 달리 연골세포가 아닌 종양을 유발하는 신장세포로 드러났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23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2부(권순정 부장검사)는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코오롱 본사를 압수수색해 인보사 개발 관련자료를 확보했다.

▲ 코오롱생명과학의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
검찰은 코오롱 측이 인보사의 성분이 바뀐 것을 알고도 인보사를 판매했다는 의혹과 시판을 위한 허가 절차 및 계열사 상장을 진행했다는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
인보사는 주사액 형태의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로 코오롱티슈진이 개발하고 코오롱생명과학이 판매를 맡았다.
사람의 연골세포가 담긴 1액과 연골세포 성장인자를 도입한 형질전환 세포가 담긴 2액으로 구성됐다.
지난 2017년 코오롱은 인보사의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최근 2액의 형질전환 세포가 허가 당시 제출한 자료에 기재된 것과 달리 연골세포가 아닌 종양을 유발하는 신장세포로 드러났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