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공인중개사들이 매매, 전세, 월세 등 모든 주택거래 유형에서 하반기 집값은 상반기와 비교해 크게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감정원은 전국 6천여 명의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하반기 주택시장 가격 전망을 묻는 질문에 대다수 공인중개사들이 매매, 전세, 월세 등 모든 주택거래 유형에서 ‘보합’을 선택했다.
매매시장과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7.5%가 보합을 골랐다. ‘크게 하락’부터 ‘보합 수준 하락’까지 매매가가 떨어질 것으로 본 응답자는 전체의 34.3%, ‘크게 상승’부터 ‘보합 수준 상승’까지 매매가가 오를 것으로 본 응답자는 전체의 8.2%를 차지했다.
하락 전망 이유로는 ‘대출규제 강화에 따른 차입여력 축소’가 41.3%로 가장 많았고 ‘공급물량 증가(34.7%)’ ‘경기침체(12.3%)’ ‘보유세 등 세제 강화 영향에 따른 시장 위축(5.8%)’ 등도 많은 선택을 받았다.
상승 전망 이유로는 ‘하락세 지속에 따른 가격 저점 인식(30.0%)’이 가장 많이 꼽혔다. ‘정비사업, 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조성 등 개발호재(19.1%)’ ‘대체투자처 부재에 따른 부동자금 유입(15.0%)’ ‘신규 분양시장 호조 영향으로 기존 주택가격 동반상승(11.8%)’ 등도 10%를 넘겼다.
전세시장과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4.3%가 보합을 선택했다. ‘크게 하락’부터 ‘보합수준 하락’까지 하락을 고른 응답자는 27.4%, ‘크게 상승’부터 ‘보합 수준 상승’까지 상승을 고른 응답자는 8.3%를 차지했다.
하락 전망 이유로는 ‘전세 공급물량 증가(49.7%)’, 상승 전망 이유로는 ‘매매가격 하락 우려 및 관망세로 전세수요 증가(37.3%)’가 가장 많이 꼽혔다.
월세시장 가격 전망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66.3%가 보합을 골랐다. 다만 하락 쪽을 선택한 응답자가 전체의 31.8%를 차지해 상승 쪽을 고른 응답자 1.9%보다 15배 이상 많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6월14일부터 24일까지 전국의 감정원 협력 공인중개사 약 6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수도권 1300명, 지방 1378명 등 모두 2678명의 공인중개사가 설문에 참여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
한국감정원은 전국 6천여 명의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 서울 일대의 아파트 모습.
하반기 주택시장 가격 전망을 묻는 질문에 대다수 공인중개사들이 매매, 전세, 월세 등 모든 주택거래 유형에서 ‘보합’을 선택했다.
매매시장과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7.5%가 보합을 골랐다. ‘크게 하락’부터 ‘보합 수준 하락’까지 매매가가 떨어질 것으로 본 응답자는 전체의 34.3%, ‘크게 상승’부터 ‘보합 수준 상승’까지 매매가가 오를 것으로 본 응답자는 전체의 8.2%를 차지했다.
하락 전망 이유로는 ‘대출규제 강화에 따른 차입여력 축소’가 41.3%로 가장 많았고 ‘공급물량 증가(34.7%)’ ‘경기침체(12.3%)’ ‘보유세 등 세제 강화 영향에 따른 시장 위축(5.8%)’ 등도 많은 선택을 받았다.
상승 전망 이유로는 ‘하락세 지속에 따른 가격 저점 인식(30.0%)’이 가장 많이 꼽혔다. ‘정비사업, 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조성 등 개발호재(19.1%)’ ‘대체투자처 부재에 따른 부동자금 유입(15.0%)’ ‘신규 분양시장 호조 영향으로 기존 주택가격 동반상승(11.8%)’ 등도 10%를 넘겼다.
전세시장과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4.3%가 보합을 선택했다. ‘크게 하락’부터 ‘보합수준 하락’까지 하락을 고른 응답자는 27.4%, ‘크게 상승’부터 ‘보합 수준 상승’까지 상승을 고른 응답자는 8.3%를 차지했다.
하락 전망 이유로는 ‘전세 공급물량 증가(49.7%)’, 상승 전망 이유로는 ‘매매가격 하락 우려 및 관망세로 전세수요 증가(37.3%)’가 가장 많이 꼽혔다.
월세시장 가격 전망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66.3%가 보합을 골랐다. 다만 하락 쪽을 선택한 응답자가 전체의 31.8%를 차지해 상승 쪽을 고른 응답자 1.9%보다 15배 이상 많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6월14일부터 24일까지 전국의 감정원 협력 공인중개사 약 6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수도권 1300명, 지방 1378명 등 모두 2678명의 공인중개사가 설문에 참여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