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현대산업개발이 1년 가까이 답보상태였던 서울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3주구(주거구역) 재건축사업을 결국 진행하게 될까?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조합의 HDC현대산업개발 시공권 취소의결이 무효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사업 진행이 재개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4일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HDC현대산업개발의 사업 재개와 관련한 쟁점은 조합장 최모씨의 사문서 위조 여부다.
최씨는 1월7일 열린 ‘현대산업개발 시공자 선정 취소’ 임시총회에서 참석자 숫자를 부풀린 혐의 등을 받고 있다.
서울 방배경찰서는 4월30일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조합 사무실과 최씨의 자택을 압수수색해 관련 증거물을 확보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씨의 사문서 위조 혐의가 사실로 드러나면 취소의결은 결국 무효가 되고 HDC현대산업개발은 시공사 지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최씨는 당시 임시총회에서 조합원 1622명 가운데 서면결의를 포함한 857명이 참석해 찬성 745표로 HDC현대산업개발의 시공사 지위를 박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씨 측은 향후 자료공개를 통해 참석자 숫자를 815명으로 정정했다. 그러나 서명위조 등 방법으로 중복 집계된 조합원이 상당수 포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임시총회 성원(조합원의 50%)인 812명을 채우지 못했다고 HDC현대산업개발과 일부 조합원들은 주장하고 있다.
수사결과가 사문서 위조로 결론이 나서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사 지위를 유지하게 되더라도 사업 진행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HDC현대산업개발의 시공사 지위 유지 등을 놓고 최씨를 중심으로 한 조합파와 나머지 조합원들이 갈등을 겪어왔기 때문이다.
최씨의 공식 임기는 2월25일로 만료됐지만 조합파와 반조합파 사이의 줄다리기로 새로운 조합장도 선출하지 못하는 등 조합 운영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조합의 한 관계자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건축조합의 정상화”라며 “조합이 정상화가 돼야 수사결과에 따라 HDC현대산업개발과 계약과 관련한 협상을 재개할지 아니면 다시 총회를 열어서 시공사 선정을 취소할지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조합 내부의 갈등은 앞으로 해소해 나가야 하는 부분”이라며 “조합장의 독단적 행동으로 사업이 좌초됐던 만큼 앞으로 수사 진행결과를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반포주공1단지 3주구는 해마다 도시정비사업 규모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서울 강남권에 위치한 알짜사업으로 꼽힌다. 사업비는 8087억 원으로 1천억~3천억 원대에 수준인 다른 강남권 재건축사업 등과 비교해도 규모가 크다.
HDC현대산업개발은 다른 대형 건설사들이 반포1·2·4주구 수주에 더 주력하던 2017년부터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사업에 공을 들여왔다.
이 회사는 2017년 11월부터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시공사 선정 경쟁입찰에 참여했다. 2번의 유찰을 거쳐 2018년 4월 수의계약 형식으로 반포3주구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됐고 2018년 7월28일 시공사로 뽑혔다.
HDC현대산업개발은 1월25일 최 조합장을 사문서 위조와 업무방해 혐의 등으로 고소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시공권 취소의결 이후 주요 대형 건설사들이 관심을 보였지만 시공사 재선정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조합의 HDC현대산업개발 시공권 취소의결이 무효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사업 진행이 재개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 김대철 HDC현대산업개발 대표이사 사장.
14일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HDC현대산업개발의 사업 재개와 관련한 쟁점은 조합장 최모씨의 사문서 위조 여부다.
최씨는 1월7일 열린 ‘현대산업개발 시공자 선정 취소’ 임시총회에서 참석자 숫자를 부풀린 혐의 등을 받고 있다.
서울 방배경찰서는 4월30일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조합 사무실과 최씨의 자택을 압수수색해 관련 증거물을 확보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씨의 사문서 위조 혐의가 사실로 드러나면 취소의결은 결국 무효가 되고 HDC현대산업개발은 시공사 지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최씨는 당시 임시총회에서 조합원 1622명 가운데 서면결의를 포함한 857명이 참석해 찬성 745표로 HDC현대산업개발의 시공사 지위를 박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씨 측은 향후 자료공개를 통해 참석자 숫자를 815명으로 정정했다. 그러나 서명위조 등 방법으로 중복 집계된 조합원이 상당수 포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임시총회 성원(조합원의 50%)인 812명을 채우지 못했다고 HDC현대산업개발과 일부 조합원들은 주장하고 있다.
수사결과가 사문서 위조로 결론이 나서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사 지위를 유지하게 되더라도 사업 진행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HDC현대산업개발의 시공사 지위 유지 등을 놓고 최씨를 중심으로 한 조합파와 나머지 조합원들이 갈등을 겪어왔기 때문이다.
최씨의 공식 임기는 2월25일로 만료됐지만 조합파와 반조합파 사이의 줄다리기로 새로운 조합장도 선출하지 못하는 등 조합 운영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조합의 한 관계자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건축조합의 정상화”라며 “조합이 정상화가 돼야 수사결과에 따라 HDC현대산업개발과 계약과 관련한 협상을 재개할지 아니면 다시 총회를 열어서 시공사 선정을 취소할지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조합 내부의 갈등은 앞으로 해소해 나가야 하는 부분”이라며 “조합장의 독단적 행동으로 사업이 좌초됐던 만큼 앞으로 수사 진행결과를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반포주공1단지 3주구는 해마다 도시정비사업 규모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서울 강남권에 위치한 알짜사업으로 꼽힌다. 사업비는 8087억 원으로 1천억~3천억 원대에 수준인 다른 강남권 재건축사업 등과 비교해도 규모가 크다.
HDC현대산업개발은 다른 대형 건설사들이 반포1·2·4주구 수주에 더 주력하던 2017년부터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사업에 공을 들여왔다.
이 회사는 2017년 11월부터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시공사 선정 경쟁입찰에 참여했다. 2번의 유찰을 거쳐 2018년 4월 수의계약 형식으로 반포3주구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됐고 2018년 7월28일 시공사로 뽑혔다.
HDC현대산업개발은 1월25일 최 조합장을 사문서 위조와 업무방해 혐의 등으로 고소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시공권 취소의결 이후 주요 대형 건설사들이 관심을 보였지만 시공사 재선정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