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가 면역항암제 ‘MG1124’의 종양 억제효과를 공개했다.
GC녹십자는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는 ‘바이오코리아 2019’에서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면역항암제 MG1124의 전임상(동물실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GC녹십자는 MG1124를 폐암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MG1124는 면역세포 활성을 저해하는 단백질인 ‘CEACAM1’을 억제해 항암작용을 일으키도록 만들어졌다.
현재 세계적으로 CEACAM1만을 타깃(목표)으로 개발되는 면역항암제는 MG1124가 유일하다.
동물실험 결과 MG1124를 투여한 집단은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미하게 높은 종양 억제율을 보였다.
또 기존 면역항암제와 함께 투여했을 때 시너지도 확인돼 병용투여 약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허민규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효과에 한계가 있는 기존 면역항암제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들에게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
GC녹십자는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는 ‘바이오코리아 2019’에서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면역항암제 MG1124의 전임상(동물실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 GC녹십자 로고.
GC녹십자는 MG1124를 폐암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MG1124는 면역세포 활성을 저해하는 단백질인 ‘CEACAM1’을 억제해 항암작용을 일으키도록 만들어졌다.
현재 세계적으로 CEACAM1만을 타깃(목표)으로 개발되는 면역항암제는 MG1124가 유일하다.
동물실험 결과 MG1124를 투여한 집단은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미하게 높은 종양 억제율을 보였다.
또 기존 면역항암제와 함께 투여했을 때 시너지도 확인돼 병용투여 약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허민규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효과에 한계가 있는 기존 면역항암제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들에게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