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1월 운용 수익률이 국내외 주식시장 회복세에 힘입어 3.05%로 집계됐다.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1월 운용 수익률이 3.05%고 1988년 기금 설치 뒤로 연평균 수익률은 5.01%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1월 말 국민연금 기금 적립금은 660조300억 원으로 파악됐다.
1월 말 금융투자부문 자산은 기금 적립금의 99.9%인 659조2700억 원이고 기금 설치 이후로 누적 운용 수익금은 잠정적으로 313조3천억 원에 이른다.
금융투자부문 자산별로 수익률을 살펴보면 국내 주식이 8.95%, 해외 주식은 7.73%, 국내 채권은 0.03%, 해외 채권은 0.89%, 대체투자자산은 0.49%로 각각 나타났다.
미국과 중국 사이 무역분쟁 완화에 기대감이 커지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가능성도 줄어들면서 국내외 주식시장이 빠르게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주식 가격은 코스피를 기준으로 2018년 17.28% 떨어졌지만 2019년 1월에는 8.03% 높아졌다.
해외 주식 가격은 23개국 선진국 지수에서 한국 기준(MSCI ACWI ex-Korea)으로 2018년 9.2% 하락했지만 2019년 1월에는 7.86% 상승했다.
채권투자자산은 한국, 미국 등 저금리 기조로 다소 낮은 수준의 수익률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됐다. 채권투자자산은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의 50%에 이른다.
채권 금리는 2019년 1월 국고채 3년물이 0.008%포인트 떨어지고 미국채 10년물이 0.055%포인트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2019년 1월 0.08% 낮아졌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1월 부동산 등 대체투자자산 수익률은 대부분 해당 기간의 이자와 배당 수익에 따른 것이므로 이번 달에는 대체투자자산의 평가 변동분이 반영되지 않는다”며 “대체투자자산에 공정가치 평가는 연말 기준으로 다음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29일 기금운용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연금은 장기 투자자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단기 성과를 부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2018년 마이너스 수익률도 최근 3월 기준으로 이미 모두 회복됐다”며 “2018년 낮은 수익률과 관련해서도 단기 리스크 관리 등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1월 운용 수익률이 3.05%고 1988년 기금 설치 뒤로 연평균 수익률은 5.01%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 안효준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CIO).
1월 말 국민연금 기금 적립금은 660조300억 원으로 파악됐다.
1월 말 금융투자부문 자산은 기금 적립금의 99.9%인 659조2700억 원이고 기금 설치 이후로 누적 운용 수익금은 잠정적으로 313조3천억 원에 이른다.
금융투자부문 자산별로 수익률을 살펴보면 국내 주식이 8.95%, 해외 주식은 7.73%, 국내 채권은 0.03%, 해외 채권은 0.89%, 대체투자자산은 0.49%로 각각 나타났다.
미국과 중국 사이 무역분쟁 완화에 기대감이 커지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가능성도 줄어들면서 국내외 주식시장이 빠르게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주식 가격은 코스피를 기준으로 2018년 17.28% 떨어졌지만 2019년 1월에는 8.03% 높아졌다.
해외 주식 가격은 23개국 선진국 지수에서 한국 기준(MSCI ACWI ex-Korea)으로 2018년 9.2% 하락했지만 2019년 1월에는 7.86% 상승했다.
채권투자자산은 한국, 미국 등 저금리 기조로 다소 낮은 수준의 수익률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됐다. 채권투자자산은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의 50%에 이른다.
채권 금리는 2019년 1월 국고채 3년물이 0.008%포인트 떨어지고 미국채 10년물이 0.055%포인트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2019년 1월 0.08% 낮아졌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1월 부동산 등 대체투자자산 수익률은 대부분 해당 기간의 이자와 배당 수익에 따른 것이므로 이번 달에는 대체투자자산의 평가 변동분이 반영되지 않는다”며 “대체투자자산에 공정가치 평가는 연말 기준으로 다음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29일 기금운용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연금은 장기 투자자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단기 성과를 부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2018년 마이너스 수익률도 최근 3월 기준으로 이미 모두 회복됐다”며 “2018년 낮은 수익률과 관련해서도 단기 리스크 관리 등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