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이 모든 부문의 고른 수익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의 순이익을 냈다. 

우리은행은 11일 실적 발표를 통해 2018년 순이익이 2조192억 원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우리은행, 고른 수익 증가에 힘입어 작년 순이익 신기록 달성

▲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


2017년보다 33.5%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순이익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6%로 나타났다. 

이자이익은 우량 중소기업 위주의 자산성장과 저비용성예금의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7.6% 늘었다.

저비용성 예금은 급여계좌, 지방자치단체 금고 등 은행이 적은 이자를 지급하는 예금이다. 

중소기업대출은 2017년보다 6.5% 증가해 자산 성장을 이끌었고 저비용성예금도 5.9% 늘었다.

비이자이익에서는 수수료이익부문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신탁과 수익증권 등을 중심으로 수수료이익은 4.8% 증가했다. 기업투자금융(CIB)과 파생상품 분야도 양호한 실적을 나타내며 비이자이익 실적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글로벌부문은 세계 20위권 수준인 26개국 441개의 네트워크를 토대로 2017년보다 19.7% 증가한 2천억 원 수준의 순이익을 냈다. 

자산 건정성 지표인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역대 최저수준인 0.51%를 나타냈고 연체율도 0.31%로 안정적 수준을 보였다. 

비은행계열사의 순이익을 살펴보면 우리카드와 우리종합금융이 각각 1265억 원, 318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

우리에프아이에스(28억 원), 우리신용정보(17억 원), 우리펀드서비스(16억 원)가 순이익을 낸 가운데 우리PE자산운용은 28억 원의 순손실을 냈다.

우리은행은 효율적 비용관리를 위해 지난해 4분기 명예퇴직과 보수적 충당금 적립 등 일회성 비용이 있었음에도 일관성 있게 추진해 온 자산관리, 글로벌부문, 기업투자금융 등 수익원 확대전략과 철저한 자산건전성 관리 노력의 결과로 역대 최대 순이익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해 은행의 수익성과 건전성 관리를 더욱 공고히 하며 우리금융지주 출범에 따라 비은행부문 사업 포트폴리오를 적극 확대해 2~3년 내 1등 금융그룹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