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글로벌 LCD TV시장에서 중국이 한국을 제치고 출하량 1위에 올랐다.

그러나 대형·초고화질 프리미엄 TV시장은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회사들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 LCDTV가 한국 제치고 1위, 프리미엄TV는 한국이 1위 지켜

▲ 삼성전자의 8K QLED TV. <삼성전자>


10일 글로벌시장 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2018년 1~3분기 글로벌 LCD TV 출하량은 모두 1억5216만5천여 대로 이 가운데 중국이 4856만1천여 대를 출하해 31.9%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4658만4천여 대(점유율 30.6%), 일본이 2218만9천여 대(점유율 14.6%), 유럽이 421만4천여 대(점유율 2.8%), 미국이 358만2천여 대(점유율 2.4%)로 뒤를 이었다.

중국은 지난해 사상 최초로 한국을 제치고 LCD TV 출하량 1위에 올랐다. 

2017년까지만 해도 한국은 LCD TV 점유율 32.4%로 27.2%의 중국을 큰 차이로 앞섰다.

그러나 LCD 패널시장에서는 2017년 이미 중국 BOE가 23% 점유율로 LG디스플레이를 3%포인트 차이로 따돌리며 1위에 오른 바 있어 LCD TV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 1위는 어느 정도 예견된 결과다.

IHS마킷은 “디스플레이시장에서 중국의 급부상은 결국 TV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여전히 세계 TV시장에서 1위와 2위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곧 중국이 주도권을 쥐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프리미엄 TV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각각 QLED와 올레드(OLED)기술을 앞세워 시장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LCDTV가 한국 제치고 1위, 프리미엄TV는 한국이 1위 지켜

▲ LG전자의 8K 올레드 TV.


삼성전자는 8K 초고화질 QLED TV를 앞세워 글로벌 TV시장에서 점유율 1위 자리의 장기집권을 이어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삼성전자는 2018년 3분기 2500달러 이상의 고급 TV시장에서 48.2%의 점유율을 보였고 75인치 이상 초대형TV시장에서는 54.1%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프리미엄시장에서 지배력을 바탕으로 삼성전자는 2018년 3분기까지 글로벌 TV시장에서 49분기 연속으로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LG전자는 2016년 66만6천여 대의 올레드 TV를 출하했는데 2017년 출하량이 117만8천여 대로 급증한 뒤 2018년에는 3분기까지 누적 출하량만도 104만5천여 대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올레드 TV의 글로벌 출하량도 2017년 159만2천여 대에서 2018년 254만 대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