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대규모 영업손실을 이어가고 있는 스마트폰사업을 흑자로 돌리는 데 2~3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바라봤다.

LG전자는 스마트폰사업을 미래를 위한 투자로 여기고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LG전자 "스마트폰 흑자전환에 2~3년 필요, 미래 위한 투자"

▲ 권봉석 LG전자 MC/HE사업본부 사장.


서동명 LG전자 MC사업본부 전무는 31일 콘퍼런스콜을 열고 "현재 스마트폰사업 실적이 나쁜 것은 사실이지만 2~3년 안에 흑자 전환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앞으로 2~3년 안에 스마트폰사업을 흑자로 돌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사실상 인정한 셈이다.

LG전자는 2018년 스마트폰사업을 담당하는 MC사업본부에서 매출 7조9800억 원, 영업손실 7901억 원을 봤다. 2017년보다 매출은 28.5% 줄고 영업손실은 7.2% 늘었다.

2015년부터 4년 연속으로 연간 영업손실을 봤다.

서 전무는 "휴대폰사업은 사물인터넷과 자동차, 인공지능 등 신사업 성장의 구심점이 될 것"이라며 "미래를 위한 투자 관점에서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LG전자는 5G 스마트폰과 접는(폴더블) 스마트폰 등 차세대 제품 출시를 위한 기술 개발을 꾸준히 진행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서 전무는 "현재 5G시장에서 경쟁력있는 단말기를 출시할 수 없는 업체는 LG전자를 포함해 소수에 불과하다"며 "5G 스마트폰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수익을 개선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LG전자는 2월 말 정보통신박람회 MWC2019에서 5G 스마트폰을 처음 선보인 뒤 상반기 안에 한국과 미국 등 주요 국가에서 정식 판매를 시작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서 전무는 "접는 스마트폰과 관련한 내부 검토는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됐다"며 "충분히 고민하고 출시시점을 검토하며 스마트폰 형태 변화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단순히 보여주기식의 경쟁은 벌이지 않을 것이라는 태도를 보였다. 삼성전자 등 글로벌 경쟁사에 맞춰 접는 스마트폰의 출시를 무리하게 앞당기지는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서 전무는 경쟁이 치열해지는 세계 스마트폰시장에서 북미와 중남미, 한국 등 LG전자가 브랜드 경쟁력을 갖춘 주력시장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중장기 실적 개선을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