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램 등 메모리반도체의 평균가격이 올해 들어 예상보다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1분기 및 향후 실적에 갈수록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14일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반도체 고객사들이 재고 확보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반도체 가격을 낮춰달라는 요구도 더욱 힘을 얻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1분기 D램 평균 가격이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22%, 낸드플래시 가격이 21% 떨어질 것으로 추정했다.
가격 하락폭이 기존 예상치였던 16% 안팎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반도체 공급 과잉과 업황 악화로 가격 협상의 주도권이 반도체기업이 아닌 고객사들에 넘어가면서 가격 하락세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1분기 반도체사업에서 매출 16조1220억 원, 영업이익 5조7140억 원을 볼 것으로 추정됐다. 영업이익이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50.5% 급감하는 수치다.
SK하이닉스는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조2280억 원, 영업이익 2조4750억 원을 볼 것으로 예상됐다. 영업이익이 지난해 1분기보다 43.3% 줄어드는 것이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메모리반도체 고객사들이 구매를 미루고 있기 때문에 1분기 반도체 가격은 크게 하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당분간 가격 약세를 피할 수 없다"고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에 이어 2020년까지 반도체업황 악화가 지속되며 D램 평균 가격이 현재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실적도 반도체 가격 하락의 타격으로 장기간 약세를 보일 공산이 크다.
이 연구원은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반도체업황 악화는 앞으로 상당 기간 진행될 것"이라며 "회복 가능성이 그다지 높지 않은 만큼 반도체기업의 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1분기 및 향후 실적에 갈수록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대표이사 부회장(왼쪽)과 이석희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14일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반도체 고객사들이 재고 확보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반도체 가격을 낮춰달라는 요구도 더욱 힘을 얻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1분기 D램 평균 가격이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22%, 낸드플래시 가격이 21% 떨어질 것으로 추정했다.
가격 하락폭이 기존 예상치였던 16% 안팎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반도체 공급 과잉과 업황 악화로 가격 협상의 주도권이 반도체기업이 아닌 고객사들에 넘어가면서 가격 하락세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1분기 반도체사업에서 매출 16조1220억 원, 영업이익 5조7140억 원을 볼 것으로 추정됐다. 영업이익이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50.5% 급감하는 수치다.
SK하이닉스는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조2280억 원, 영업이익 2조4750억 원을 볼 것으로 예상됐다. 영업이익이 지난해 1분기보다 43.3% 줄어드는 것이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메모리반도체 고객사들이 구매를 미루고 있기 때문에 1분기 반도체 가격은 크게 하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당분간 가격 약세를 피할 수 없다"고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에 이어 2020년까지 반도체업황 악화가 지속되며 D램 평균 가격이 현재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실적도 반도체 가격 하락의 타격으로 장기간 약세를 보일 공산이 크다.
이 연구원은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반도체업황 악화는 앞으로 상당 기간 진행될 것"이라며 "회복 가능성이 그다지 높지 않은 만큼 반도체기업의 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