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KB국민은행장이 중소기업 금융의 비중을 늘리고 있다.
윤 회장은 우수한 IT기술이나 특허권 등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공략해 국민은행의 수익원을 늘리려 한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올해 약 650억 원 규모의 우수 중소기업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 |
||
▲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KB국민은행장 |
국민은행은 최근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KB지식재산권담보대출’을 내놓았다.
국민은행은 특허청에 등록한 지식재산권을 제품이나 서비스에 적용해 실제 매출을 내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최대 10억 원의 자금을 대출해 준다. 특허권의 가치를 평가받을 때 내야 하는 수수료도 특허청과 공동으로 지원한다.
KB인베스트먼트도 지난달 모두 500억 원 규모의 KB지식재산투자조합을 조성했다. KB인베스트먼트는 조합을 통해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창업부터 기업공개(IPO)까지 지원한다.
KB금융은 올해 초부터 핀테크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들에게 투자와 기업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도 했다. KB인베스트먼트가 약 150억 원을 투자하고 국민은행이 연구공간과 기술테스트환경 등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윤 회장은 올해 들어 KB금융의 중소기업 금융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윤 회장은 지난해 11월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성장잠재력이 큰 중소기업 금융에도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KB금융 조직을 개편하면서 중소기업지원그룹을 신설해 영업력을 강화하기도 했다.
윤 회장이 취임한 뒤 국민은행은 일반 중소기업 대상으로도 대출을 크게 늘리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중소기업 대출잔액 69조6982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68조3935억 원에서 2개월 만에 1조3천억 원 이상 늘었다.
국민은행은 중소기업에게 담보를 요구하는 대신 보유한 기술의 가치를 평가해 자금을 대출하는 기술신용대출도 확대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지난 2월 총 1조4745억 원 규모의 기술신용대출잔액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8121억 원과 비교해 50% 이상 증가했다.
윤 회장은 중소기업 금융이 최근 새로운 수익원으로 떠오르면서 시장이 커지고 있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들은 지난해 STX그룹과 동부그룹 등 대기업 부실대출로 큰 손실을 입었다. 가계대출도 정부가 가계부채 확대를 경계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량한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대출보다 리스크가 낮으면서 가계대출보다 수익성이 높을 수 있다”며 “지금의 저금리 저성장 기조에서 중소기업대출을 늘리는 방안이 필수”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