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노사가 집중교섭에서 합의안 도출에 이르지 못했다.
노사는 26일 오후 8시40분경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교섭을 마무리하고 27일 오전 9시에 다시 교섭을 이어가기로 했다.
노조 관계자는 "오전과 오후에 각각 실무교섭, 대표자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며 "실무교섭과 대표자교섭에서 다루는 내용이 다르고 아직 진행 중인 사안이보니 내용을 자세히 밝히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노사간 연내 타결을 이루기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27일이 협상의 마지막 시한"이라며 "물리적으로 27일 합의안이 나와야 조합원들에게 의사를 묻는 절차라도 진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26일 연내 임단협 타결을 위한 집중교섭에 들어갔다. 임단협과 별도로 이날 해양사업부 유휴인력의 유급휴직에는 합의에 도달했다.
회사 측은 20일 △내년 말까지 유휴인력 고용 보장 △기본급 20% 반납 철회 △귀향비와 생일축하금 등을 월 6만6천 원으로 산정해 기본급으로 전환 △생산목표 달성 격려금 100%+150만 원 지급 등을 담은 교섭안을 노조에 제안했으나 노조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21일과 24일 실무교섭에서는 성과급 산출기준과 정년 퇴직자들의 퇴직급 산정 기준, 하청 노동자들의 처우 등을 놓고 의견 차이를 보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
노사는 26일 오후 8시40분경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교섭을 마무리하고 27일 오전 9시에 다시 교섭을 이어가기로 했다.
노조 관계자는 "오전과 오후에 각각 실무교섭, 대표자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며 "실무교섭과 대표자교섭에서 다루는 내용이 다르고 아직 진행 중인 사안이보니 내용을 자세히 밝히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노사간 연내 타결을 이루기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27일이 협상의 마지막 시한"이라며 "물리적으로 27일 합의안이 나와야 조합원들에게 의사를 묻는 절차라도 진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26일 연내 임단협 타결을 위한 집중교섭에 들어갔다. 임단협과 별도로 이날 해양사업부 유휴인력의 유급휴직에는 합의에 도달했다.
회사 측은 20일 △내년 말까지 유휴인력 고용 보장 △기본급 20% 반납 철회 △귀향비와 생일축하금 등을 월 6만6천 원으로 산정해 기본급으로 전환 △생산목표 달성 격려금 100%+150만 원 지급 등을 담은 교섭안을 노조에 제안했으나 노조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21일과 24일 실무교섭에서는 성과급 산출기준과 정년 퇴직자들의 퇴직급 산정 기준, 하청 노동자들의 처우 등을 놓고 의견 차이를 보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