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중소기업 전문 투자자를 키우겠다는 뜻을 보였다.
김 부위원장은 1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자본시장 혁신과제 세부방안 의견 수렴 현장간담회’를 열고 “국내 개인 전문투자자는 엄격한 진입 요건과 복잡한 등록 절차로 2천 명 수준에 불과하다”며 “등록 요건과 절차를 대폭 완화해 자발적으로 중소기업에 투자할 의지와 역량이 있는 투자자들을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넥스시장의 기업자금 조달 규제를 풀어 코스닥 이전 상장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계획도 내놓앗다.
김 부위원장은 “코넥스 시장이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지원과 초기 벤처투자자의 회수시장 역할을 기대해 설립했으나 그 역할이 다소 미흡하다”며 “시장 유동성을 확충해 기업의 자금조달 관련 규제를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의 중소기업 자금 중개를 두고도 해외 사례를 참고해 진입규제와 영업행위 규제를 큰 폭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는 금융위원회가 11월 발표한 ‘자본시장 혁신과제’ 가운데 개인 전문투자자 확대방안, 코넥스시장 기능 강화방안, 중소기업금융 전문증권사 진입 촉진방안 등에 관해 업계 의견을 모으기 위해 마련됐다.
김 부위원장은 “오늘 의견을 수렴한 세 가지 과제는 가급적 한 달 이내에 구체적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
김 부위원장은 1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자본시장 혁신과제 세부방안 의견 수렴 현장간담회’를 열고 “국내 개인 전문투자자는 엄격한 진입 요건과 복잡한 등록 절차로 2천 명 수준에 불과하다”며 “등록 요건과 절차를 대폭 완화해 자발적으로 중소기업에 투자할 의지와 역량이 있는 투자자들을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코넥스시장의 기업자금 조달 규제를 풀어 코스닥 이전 상장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계획도 내놓앗다.
김 부위원장은 “코넥스 시장이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지원과 초기 벤처투자자의 회수시장 역할을 기대해 설립했으나 그 역할이 다소 미흡하다”며 “시장 유동성을 확충해 기업의 자금조달 관련 규제를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의 중소기업 자금 중개를 두고도 해외 사례를 참고해 진입규제와 영업행위 규제를 큰 폭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는 금융위원회가 11월 발표한 ‘자본시장 혁신과제’ 가운데 개인 전문투자자 확대방안, 코넥스시장 기능 강화방안, 중소기업금융 전문증권사 진입 촉진방안 등에 관해 업계 의견을 모으기 위해 마련됐다.
김 부위원장은 “오늘 의견을 수렴한 세 가지 과제는 가급적 한 달 이내에 구체적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