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이 블록체인 기술을 은행 업무 전반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신한은행은 업무의 효율성과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체인 랩(Lab)’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하고 담당부서 교육 및 컨설팅을 거쳐 업무 상용화를 추진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했다고 10일 밝혔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위성호 신한은행장은 금융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최근 블록체인 분야와 관련해 다양한 기술·상품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첫 프로젝트로 11월30일부터 금융권 최초로 ‘이자율 스왑(IRS) 거래’ 체결 과정에 블록체인 기술을 상용화했다.
자체 개발한 기술과 역량으로 금리파생상품 거래에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도입해 거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불일치를 원천적으로 없애는데 성공했다.
스마트계약이란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면 일정한 조건이 충족됐을 때 자동으로 계약이 이뤄지게 하는 방식이다.
신한은행은 이를 시작으로 그동안 마련해온 블록체인 기술 도입과 관련된 아이디어들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외부기관과 데이터 공유 및 검증이 필요한 업무를 많이 하는 금융공학센터, 외환사업부, 금융결제부, 업무혁신본부, 투자자산수탁부 등을 대상으로 3월부터 블록체인 교육 및 컨설팅을 진행했다.
11월 말까지 20여 차례 시행된 교육·컨설팅에는 부서장, 실무자 등 400여 명의 관련 부서 직원들이 참여했다.
교육·컨설팅 내용을 바탕으로 각 부서에서는 실제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신한은행은 수출입금융, 외부기관 연계 여신상품 등 외환·여신·파생상품·채권·신탁·연금업무와 관련해 제시된 10여 개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기술 검증을 진행하기로 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자율 스왑 거래에 블록체인 기술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것을 계기로 앞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업무에 적용하는 데 더욱 탄력이 붙을 것”이라며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 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업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신한은행은 업무의 효율성과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체인 랩(Lab)’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하고 담당부서 교육 및 컨설팅을 거쳐 업무 상용화를 추진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했다고 10일 밝혔다.

▲ 위성호 신한은행장.
신한은행 관계자는 “위성호 신한은행장은 금융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최근 블록체인 분야와 관련해 다양한 기술·상품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첫 프로젝트로 11월30일부터 금융권 최초로 ‘이자율 스왑(IRS) 거래’ 체결 과정에 블록체인 기술을 상용화했다.
자체 개발한 기술과 역량으로 금리파생상품 거래에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도입해 거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불일치를 원천적으로 없애는데 성공했다.
스마트계약이란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면 일정한 조건이 충족됐을 때 자동으로 계약이 이뤄지게 하는 방식이다.
신한은행은 이를 시작으로 그동안 마련해온 블록체인 기술 도입과 관련된 아이디어들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외부기관과 데이터 공유 및 검증이 필요한 업무를 많이 하는 금융공학센터, 외환사업부, 금융결제부, 업무혁신본부, 투자자산수탁부 등을 대상으로 3월부터 블록체인 교육 및 컨설팅을 진행했다.
11월 말까지 20여 차례 시행된 교육·컨설팅에는 부서장, 실무자 등 400여 명의 관련 부서 직원들이 참여했다.
교육·컨설팅 내용을 바탕으로 각 부서에서는 실제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신한은행은 수출입금융, 외부기관 연계 여신상품 등 외환·여신·파생상품·채권·신탁·연금업무와 관련해 제시된 10여 개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기술 검증을 진행하기로 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자율 스왑 거래에 블록체인 기술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것을 계기로 앞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업무에 적용하는 데 더욱 탄력이 붙을 것”이라며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 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업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