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보건복지부에서 내놓은 국민연금 개편안의 초안을 전반적으로 다시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개편안에 들어간 보험료율 인상폭을 문제로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복지부에 국민연금 개편안 전면 재검토 지시

문재인 대통령.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7일 청와대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문 대통령이 이날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국민연금 개편안에 관련된 중간보고를 받은 뒤 초안을 전면 재검토할 것을 주문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박 장관에게 그동안 받아온 여러 의견을 종합하되 국민의 의견이 더욱 폭넓고 충실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수정하고 보완할 것을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곧이어 김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은 박 장관으로부터 받은 국민연금 개편안의 초안을 보고 국민이 현재 생각하는 연금개혁 방향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내 느낌으로는 단순한 재검토가 아니라 전면 재검토를 지시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국민연금 개편안의 초안 가운데 보험료율 인상 부분이 국민의 눈높이와 가장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국민연금 개편안의 초안에는 소득대체율을 40%~50%로 잡은 수준에서 지금 9%인 보험료율을 단계적으로 인상해 최대 15%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이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국민연금의 보험료율 인상을 바라지 않느냐'는 질문에 “지금 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문 대통령은 국민이 기대하는 수준과 눈높이에 맞추는 것을 연금 개편의 대원칙으로 삼고 있다”고 대답했다. 

보건복지부는 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국민의 의견을 더욱 많이 반영한 국민연금 개편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 뒤 기자설명회와 국민공청회 등을 통해 구체적 내용을 알리는 과정을 거쳐 새 정부안을 국회에 내기로 했다. 

복지부는 11월 말에 국민연금 개편에 관련된 정부안을 국회에 낼 것으로 예상돼 왔지만 문 대통령이 재검토를 지시하면서 정부안을 제출하는 시기도 더욱 늦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 대변인도 “국민연금 개편안의 초안을 검토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정부안을 내는) 일정을 국회와 다시 협의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