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체 수출 규모가 사상 최초로 6천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6일 발표한 ‘2018년 3분기 수출 실적 평가 및 4분기 전망’에 따르면 올해 4분기 수출이 지난해 4분기보다 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앞으로 수출 경기 판단의 기준이 되는 수출선행지수도 상승해 등 수출 증가세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4분기 수출선행지수는 126.6으로 3분기보다 1.3%, 지난해 4분기보다 6% 상승했다.
올해 총수출은 지난해보다 6% 안팎으로 증가해 사상 최초로 6천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한국수출입은행은 내다봤다.
3분기에는 무선통신기기·가전의 경쟁 심화, 현지 부품조달 비중 증가 등의 영향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수출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조업 경기 호조, 인프라사업 확대 등의 영향으로 중국과 대만으로 수출은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했다.
한국수출입은행 관계자는 “4분기에도 수출 대상국의 경기 안정세와 유가 상승세 유지 등 수출 여건이 우호적이고 지난해의 기저효과도 있어 수출 증가폭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다만 미국과 중국 무역갈등 장기화, 미국 금리 인상 가속화 등에 따른 신흥국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수출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6일 발표한 ‘2018년 3분기 수출 실적 평가 및 4분기 전망’에 따르면 올해 4분기 수출이 지난해 4분기보다 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 올해 전체 수출 규모가 사상 최초로 6천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앞으로 수출 경기 판단의 기준이 되는 수출선행지수도 상승해 등 수출 증가세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4분기 수출선행지수는 126.6으로 3분기보다 1.3%, 지난해 4분기보다 6% 상승했다.
올해 총수출은 지난해보다 6% 안팎으로 증가해 사상 최초로 6천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한국수출입은행은 내다봤다.
3분기에는 무선통신기기·가전의 경쟁 심화, 현지 부품조달 비중 증가 등의 영향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수출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조업 경기 호조, 인프라사업 확대 등의 영향으로 중국과 대만으로 수출은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했다.
한국수출입은행 관계자는 “4분기에도 수출 대상국의 경기 안정세와 유가 상승세 유지 등 수출 여건이 우호적이고 지난해의 기저효과도 있어 수출 증가폭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다만 미국과 중국 무역갈등 장기화, 미국 금리 인상 가속화 등에 따른 신흥국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수출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