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9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08억3천만 달러 흑자를 냈다. 2012년 3월부터 79개월째 흑자다. <한국은행>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9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08억3천만 달러 흑자를 냈다. 2012년 3월부터 79개월째 흑자다.
경상수지 흑자폭은 2017년 9월 122억9천만 달러와 비교하면 11.9% 줄었다. 전달인 8월 경상수지 흑자 84억4천만 달러보다는 28.3% 늘었다.
상품수지는 132억4천만 달러로 2017년 9월보다 11.6%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25억2천만 달러 적자를 봤다. 적자폭은 지난해 9월 28억8천만 달러보다 12.5% 줄었고 올해 8월 21억1천만 달러보다 19.4% 늘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운송과 여행수지 등이 개선돼 2017년 9월보다 서비스수지의 적자 규모가 줄었다”고 말했다.
임금, 배당, 이자 등 투자소득을 포함한 본원소득수지는 6억7천만 달러 흑자를 냈다. 송금, 무상원조 등 대가없이 주고받은 금액 차이를 나타내는 이전소득수지는 5억6천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상품과 서비스 거래가 없는 자본 유출입을 보여주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9월 한달동안 97억3천만 달러 늘었다. 올해 1~9월까지 금융계정 순자산은 모두 514억 달러가 증가했다.
9월 한달 동안 직접 투자는 내국인의 해외 투자가 24억7천만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3억 달러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주식, 채권 거래 등 증권 투자는 내국인의 해외 투자가 77억2천만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14억 달러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관 기준으로 수출입 규모를 살펴보면 2018년 9월 수출은 지난해 9월보다 8.2% 줄어든 505억9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수입은 1.6% 감소한 410억2천만 달러로 나타났다.
품목별 수출입 규모 변화를 살펴보면 수출에서 반도체(27.7%), 석유제품(14.3%) 등은 증가했지만 선박(-55.3%), 철강제품(-36.8%), 가전제품(-31.9%) 등은 줄었다.
수입에서는 원자재는 9.8%늘었지만 자본재와 소비재는 각각 13.8%, 7.8% 감소했다.
지역별 현황은 중국(7.7%), 동남아시아(5.5%) 등으로 수출이 늘어나고 중남미(-42.7%), 중동(-27.1%) 등에 수출은 줄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