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코스피지수가 1900~2400선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2분기에 증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낮아지면서 반등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진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31일 “코스피지수는 올해 말까지 다시 변동성이 커질 수도 있다”며 “다만 내년 상반기에 주식시장의 의미있는 저점이 확인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 1분기까지는 무역분쟁이 심화되고 금리 인상정책 및 경기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봤다.
달러화 강세 압력도 지속될 것으로 이 연구원은 예상했다.
내년 2분기가 주가 변곡점이 나타나는 시기가 될 것으로 점쳐졌다.
이 연구원은 “정책 불확실성이 완화되는 환경일 가능성이 높고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향한 기대감도 선반영될 수 있는 시기”라고 전망했다.
일반적으로 유럽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달러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달러화 강세 현상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원은 “상장기업 실적도 내년 2분기가 분기점일 될 것”이라며 “지금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하는 추세는 내년 1분기 실적이 확인될 때까지는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내년 2분기에 회복한 주가는 내년 3분기 이후에는 박스권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2020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기조와 경기 확장세의 향방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며 “코스피지수는 내년에 1900~2400선 사이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내년 2분기에 증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낮아지면서 반등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진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31일 “코스피지수는 올해 말까지 다시 변동성이 커질 수도 있다”며 “다만 내년 상반기에 주식시장의 의미있는 저점이 확인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 1분기까지는 무역분쟁이 심화되고 금리 인상정책 및 경기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봤다.
달러화 강세 압력도 지속될 것으로 이 연구원은 예상했다.
내년 2분기가 주가 변곡점이 나타나는 시기가 될 것으로 점쳐졌다.
이 연구원은 “정책 불확실성이 완화되는 환경일 가능성이 높고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향한 기대감도 선반영될 수 있는 시기”라고 전망했다.
일반적으로 유럽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달러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달러화 강세 현상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원은 “상장기업 실적도 내년 2분기가 분기점일 될 것”이라며 “지금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하는 추세는 내년 1분기 실적이 확인될 때까지는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내년 2분기에 회복한 주가는 내년 3분기 이후에는 박스권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2020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기조와 경기 확장세의 향방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며 “코스피지수는 내년에 1900~2400선 사이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