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시내 절반 이상의 건물이 에너지 사용량을 우수하게 관리한 것으로 평가됐다.
14일 서울시가 서울 소재 건물 5987곳의 ‘건물 에너지 등급’을 매긴 결과에 따르면 53.4%가 산업통상자원부의 관리 목표인 B등급을 넘겼다. 지난해보다 2.1%포인트 늘어났다.
‘건물에너지 신고·등급제’는 공공·민간건물이 전년도 에너지 사용량을 자율적으로 신고하면 서울시가 평가하는 제도다. 건물의 용도와 규모에 따라 단위 면적당 사용량이 5개 등급(A~E)으로 나뉜다.
올해 등급제 참여 건물 6천여 곳 가운데 A~C등급은 92.2%로 기록됐다. D~E등급 건물에는 서울시가 무료 전문가 컨설팅과 무이자 융자 상담을 제공한다.
올해에는 건물 약 1만5천여 곳이 등급평가를 신청했다. 법적 신고 의무는 없지만 지난해보다 약 1.5배 늘어난 것이다.
서울시는 이 가운데 평가요건을 만족한 5987곳(공공건물 3331개 동, 민간 2991개 동)을 대상으로 등급을 산정했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 본부장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건물 에너지사용량 감축이 필수적”이라며 “민간과 지자체가 기후위기에 공동 대응하는 에너지관리 정책의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수연 기자
14일 서울시가 서울 소재 건물 5987곳의 ‘건물 에너지 등급’을 매긴 결과에 따르면 53.4%가 산업통상자원부의 관리 목표인 B등급을 넘겼다. 지난해보다 2.1%포인트 늘어났다.

▲ 서울시가 서울 소재 건물 5987곳의 ‘건물 에너지 등급’을 매겼다. <서울시>
‘건물에너지 신고·등급제’는 공공·민간건물이 전년도 에너지 사용량을 자율적으로 신고하면 서울시가 평가하는 제도다. 건물의 용도와 규모에 따라 단위 면적당 사용량이 5개 등급(A~E)으로 나뉜다.
올해 등급제 참여 건물 6천여 곳 가운데 A~C등급은 92.2%로 기록됐다. D~E등급 건물에는 서울시가 무료 전문가 컨설팅과 무이자 융자 상담을 제공한다.
올해에는 건물 약 1만5천여 곳이 등급평가를 신청했다. 법적 신고 의무는 없지만 지난해보다 약 1.5배 늘어난 것이다.
서울시는 이 가운데 평가요건을 만족한 5987곳(공공건물 3331개 동, 민간 2991개 동)을 대상으로 등급을 산정했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 본부장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건물 에너지사용량 감축이 필수적”이라며 “민간과 지자체가 기후위기에 공동 대응하는 에너지관리 정책의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