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소폭 올랐고 1인당 국민총소득은 11년째 3만 달러를 넘지 못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6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2016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8%로 집계됐다. 2015년과 같은 수준이다.
![]() |
||
▲ 정규일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15 국민계정(확정) 및 2016년 국민계정(잠정)'을 발표하고 있다.<뉴시스> |
정규일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4분기에 건설투자가 위축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제로 둔화폭이 크지 않았다”며 “지난해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건설업뿐 아니라 제조업의 성장률도 높았다”고 설명했다.
제조업부문의 성장률은 2.3%로 집계됐는데 속보치와 비교하면 0.6%포인트 높아졌다.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1년 3.7%에서 2012년 2.3%로 크게 떨어진 뒤 2013년 2.9%, 2014년 3.3% 2015년 2.8% 등으로 나타났다.
2016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만7561달러로 집계됐는데 2015년보다 1.4% 늘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2006년(2만795만 달러)에 처음으로 2만 달러를 넘은 뒤 11년째 3만 달러를 넘지 못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한 나라 국민의 생활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되고 있는 데다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라 달러표시 소득이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2016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160.4원으로 2015년보다 28.9원(2.9%) 상승했다.
물가상승분을 포함한 명목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4.7%로 집계됐고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814만원으로 2015년보다 3.5% 늘었다.
2016년 총저축률은 2015년보다 0.2%포인트 오른 35.8%로 나타났는데 1999년(35.9%)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다.
특히 가계의 순저축률은 지난해 8.1%로 집계돼 얼어붙은 가계의 소비심리가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순저축률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3년 4.9%, 2014년 6.3%, 2015년 8.1%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2016년 GDP디플레이터는 2015년보다 1.8% 올랐다. GDP디플레이터란 국가의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인데 명목 국내총생산을 실질 국내총생산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