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석유류 가격의 영향을 받아 연말까지 3%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6일 "연말까지 공급측면의 (물가) 상하방 요인의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주목할 점은 석유류의 기저 효과가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는 점이다"며 "한국 물가상승률은 연말까지 3% 내외를 유지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8월 한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3.4%로 나타났다. 올해 4월 3.7%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8월 물가 상승폭이 크게 확대된 주요 요인으로는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이 꼽혔다.
석유류는 국제 유가 반등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가격 하락폭이 7월 25.9%에서 8월 11.0%로 둔화됐다.
농산물 가격은 올해 폭염과 호우 영향으로 지난해 8월보다 5.4%, 전월보다 10.5% 올랐다.
이 연구원은 "8월 한국 물가의 특징은 경기 둔화로 서비스 부문 물가 상승폭은 둔화되는 가운데 에너지 및 농산물 가격 등 공급 측면에서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는 점이다"며 "이는 물가상승세가 추세적이기보다는 변수에 따라 변동성이 강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 물가는 특히 석유류 가격의 영향을 받아 변동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원은 "농산물 가격은 기상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과 추석 수요를 고려하면 9월에도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기상여건 개선으로 가격이 안정되고 있으며 추석 민생안정대척이 진행돼 8월만큼 큰 가격 반등을 보일 가능성은 제한적이다"고 말했다.
그는 "문제는 석유류 가격이다"며 "한국의 원유수입단가를 선행하는 두바이유의 상승세를 살펴볼 때 9월에도 석유류는 중요한 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고 바라봤다.
이에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말까지 3% 내외에서 정체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8월 말로 예정됐던 유류세 인하 종료 시기가 10월 말로 연장됐다는 점은 변수로 꼽혔다.
이 연구원은 "유류세 인하에 대한 실효성 논란은 있으나 인하가 종료되면 단기적으로는 물가에 직접적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며 "유가의 향방과 함께 유류세 인하 연장 여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6일 "연말까지 공급측면의 (물가) 상하방 요인의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주목할 점은 석유류의 기저 효과가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는 점이다"며 "한국 물가상승률은 연말까지 3% 내외를 유지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 한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석유류 가격의 영향으로 3% 내외에 정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부유식 원유 해상 생산설비(FPSO). <삼성중공업>
통계청이 5일 발표한 8월 한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3.4%로 나타났다. 올해 4월 3.7%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8월 물가 상승폭이 크게 확대된 주요 요인으로는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이 꼽혔다.
석유류는 국제 유가 반등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가격 하락폭이 7월 25.9%에서 8월 11.0%로 둔화됐다.
농산물 가격은 올해 폭염과 호우 영향으로 지난해 8월보다 5.4%, 전월보다 10.5% 올랐다.
이 연구원은 "8월 한국 물가의 특징은 경기 둔화로 서비스 부문 물가 상승폭은 둔화되는 가운데 에너지 및 농산물 가격 등 공급 측면에서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는 점이다"며 "이는 물가상승세가 추세적이기보다는 변수에 따라 변동성이 강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 물가는 특히 석유류 가격의 영향을 받아 변동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원은 "농산물 가격은 기상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과 추석 수요를 고려하면 9월에도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기상여건 개선으로 가격이 안정되고 있으며 추석 민생안정대척이 진행돼 8월만큼 큰 가격 반등을 보일 가능성은 제한적이다"고 말했다.
그는 "문제는 석유류 가격이다"며 "한국의 원유수입단가를 선행하는 두바이유의 상승세를 살펴볼 때 9월에도 석유류는 중요한 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고 바라봤다.
이에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말까지 3% 내외에서 정체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8월 말로 예정됐던 유류세 인하 종료 시기가 10월 말로 연장됐다는 점은 변수로 꼽혔다.
이 연구원은 "유류세 인하에 대한 실효성 논란은 있으나 인하가 종료되면 단기적으로는 물가에 직접적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며 "유가의 향방과 함께 유류세 인하 연장 여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