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제도(CBAM) 도입 등 탄소 대응에 따른 무역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의 97%가 탄소중립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이 중소기업벤처부 산하 기술보증기금(KIBO)에서 받은 ‘2021년 중소기업 저탄소・친환경 경영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중립 관련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들은 3.2%에 불과했다. 제조업을 영위하는 종사자 수 10인 이상 기업인 3724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이메일과 모바일을 통해 실시한 조사결과다.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44.1%이었다. 전혀 준비가 없다고 대답한 응답자들도 전체의 28.3%를 차지했다.
탄소중립 경영전환 애로사항으로는 비용 부담이 62.5%로 1위를 차지했다. 그 외에도 정보 및 지식 부족이 23.7%, 기술 및 노하우 부족 4.1%, 정부의 지원제도 부족 3.6%, 전문인력 부족 3.6% 등 순으로 응답했다.
탄소중립 투자 우선순위로는 고효율 생산설비 도입이 32.3%로 1위였다. 신・재생 에너지원 시설 구축(15.6%), 친환경수송수단으로 교체(14.9%), 저탄소・친환경 기술제품 개발과 저탄소 공정전환을 각각 9.9%와 7% 비율로 꼽았다.
탄소중립 및 저탄소・친환경 경영을 위한 정부지원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90.5%)가 공감했다.
응답자들은 탄소중립 및 저탄소・친환경 경영 관련 인지도 관련 질문에서 탄소중립 대응이 필요하다(74.6%)고 응답했다. 보통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은 18.8%이었고 필요하지 않다는 대답은 6.6%로 나타났다.
필요하지 않다고 대답한 응답자들은 영위 중인 사업과 무관하다는 이유(54.1%)를 1위로 꼽았다. 현재 탄소배출량이 적기 때문(18.9%), 중소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님(13.5%)이라는 대답이 그 뒤를 이었다.
지금까지 탄소중립 관련 투자금액으로는 1억 원에서 5억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28.9%로 가장 많았다. 1천만 원 미만은 22.2%를 , 5천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은 16.7%를 차지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준비가 돼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들은 탄소중립 경영을 위한 평균 투자 금액으로 4억3400만 원을 제시했다. 또 앞으로 평균 10억5200만 원의 재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응답자들은 가장 선호하는 정책으로 저탄소·친환경 제조 전환을 위한 자금 지원(58.8%)을 꼽았고 그 뒤로 교육 및 정보 제공(19.2%), 친환경 제품 개발 연구개발 지원 14.3%, 인증서 획득 지원 2.9%, 컨설팅 지원 2.9% 등이 나타났다.
구 의원은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력이 풍부한 대기업과는 달리 탄소중립을 위한 준비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앞으로 무역분쟁 방지와 산업기술 경쟁 제고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소망 기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이 중소기업벤처부 산하 기술보증기금(KIBO)에서 받은 ‘2021년 중소기업 저탄소・친환경 경영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중립 관련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들은 3.2%에 불과했다. 제조업을 영위하는 종사자 수 10인 이상 기업인 3724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이메일과 모바일을 통해 실시한 조사결과다.

▲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은 24일 중소기업들의 탄소중립·녹색경영 준비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구자근 의원>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44.1%이었다. 전혀 준비가 없다고 대답한 응답자들도 전체의 28.3%를 차지했다.
탄소중립 경영전환 애로사항으로는 비용 부담이 62.5%로 1위를 차지했다. 그 외에도 정보 및 지식 부족이 23.7%, 기술 및 노하우 부족 4.1%, 정부의 지원제도 부족 3.6%, 전문인력 부족 3.6% 등 순으로 응답했다.
탄소중립 투자 우선순위로는 고효율 생산설비 도입이 32.3%로 1위였다. 신・재생 에너지원 시설 구축(15.6%), 친환경수송수단으로 교체(14.9%), 저탄소・친환경 기술제품 개발과 저탄소 공정전환을 각각 9.9%와 7% 비율로 꼽았다.
탄소중립 및 저탄소・친환경 경영을 위한 정부지원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90.5%)가 공감했다.
응답자들은 탄소중립 및 저탄소・친환경 경영 관련 인지도 관련 질문에서 탄소중립 대응이 필요하다(74.6%)고 응답했다. 보통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은 18.8%이었고 필요하지 않다는 대답은 6.6%로 나타났다.
필요하지 않다고 대답한 응답자들은 영위 중인 사업과 무관하다는 이유(54.1%)를 1위로 꼽았다. 현재 탄소배출량이 적기 때문(18.9%), 중소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님(13.5%)이라는 대답이 그 뒤를 이었다.
지금까지 탄소중립 관련 투자금액으로는 1억 원에서 5억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28.9%로 가장 많았다. 1천만 원 미만은 22.2%를 , 5천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은 16.7%를 차지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준비가 돼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들은 탄소중립 경영을 위한 평균 투자 금액으로 4억3400만 원을 제시했다. 또 앞으로 평균 10억5200만 원의 재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응답자들은 가장 선호하는 정책으로 저탄소·친환경 제조 전환을 위한 자금 지원(58.8%)을 꼽았고 그 뒤로 교육 및 정보 제공(19.2%), 친환경 제품 개발 연구개발 지원 14.3%, 인증서 획득 지원 2.9%, 컨설팅 지원 2.9% 등이 나타났다.
구 의원은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력이 풍부한 대기업과는 달리 탄소중립을 위한 준비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앞으로 무역분쟁 방지와 산업기술 경쟁 제고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소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