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제도(CBAM) 도입 등 탄소 대응에 따른 무역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의 97%가 탄소중립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이 중소기업벤처부 산하 기술보증기금(KIBO)에서 받은 ‘2021년 중소기업 저탄소・친환경 경영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중립 관련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들은 3.2%에 불과했다. 제조업을 영위하는 종사자 수 10인 이상 기업인 3724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이메일과 모바일을 통해 실시한 조사결과다.
▲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은 24일 중소기업들의 탄소중립·녹색경영 준비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구자근 의원>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44.1%이었다. 전혀 준비가 없다고 대답한 응답자들도 전체의 28.3%를 차지했다.
탄소중립 경영전환 애로사항으로는 비용 부담이 62.5%로 1위를 차지했다. 그 외에도 정보 및 지식 부족이 23.7%, 기술 및 노하우 부족 4.1%, 정부의 지원제도 부족 3.6%, 전문인력 부족 3.6% 등 순으로 응답했다.
탄소중립 투자 우선순위로는 고효율 생산설비 도입이 32.3%로 1위였다. 신・재생 에너지원 시설 구축(15.6%), 친환경수송수단으로 교체(14.9%), 저탄소・친환경 기술제품 개발과 저탄소 공정전환을 각각 9.9%와 7% 비율로 꼽았다.
탄소중립 및 저탄소・친환경 경영을 위한 정부지원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90.5%)가 공감했다.
응답자들은 탄소중립 및 저탄소・친환경 경영 관련 인지도 관련 질문에서 탄소중립 대응이 필요하다(74.6%)고 응답했다. 보통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은 18.8%이었고 필요하지 않다는 대답은 6.6%로 나타났다.
필요하지 않다고 대답한 응답자들은 영위 중인 사업과 무관하다는 이유(54.1%)를 1위로 꼽았다. 현재 탄소배출량이 적기 때문(18.9%), 중소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님(13.5%)이라는 대답이 그 뒤를 이었다.
지금까지 탄소중립 관련 투자금액으로는 1억 원에서 5억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28.9%로 가장 많았다. 1천만 원 미만은 22.2%를 , 5천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은 16.7%를 차지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준비가 돼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들은 탄소중립 경영을 위한 평균 투자 금액으로 4억3400만 원을 제시했다. 또 앞으로 평균 10억5200만 원의 재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응답자들은 가장 선호하는 정책으로 저탄소·친환경 제조 전환을 위한 자금 지원(58.8%)을 꼽았고 그 뒤로 교육 및 정보 제공(19.2%), 친환경 제품 개발 연구개발 지원 14.3%, 인증서 획득 지원 2.9%, 컨설팅 지원 2.9% 등이 나타났다.
구 의원은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력이 풍부한 대기업과는 달리 탄소중립을 위한 준비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앞으로 무역분쟁 방지와 산업기술 경쟁 제고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소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