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더불어민주당에서 꺼내든 행정수도 이전 이슈의 대응전략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김 위원장은 국면전환용이라며 일축했지만 선거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는 충청지역 민심을 직접 자극하는 사안인 데다 여론이 긍정적 흐름을 보이자 통합당에서도 행정수도 이전 논의에 적극 참여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오늘Who] 김종인, 민주당 '행정수도 이전'에 대응할 묘안 못 찾아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2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민주당이 제안한 '수도 이전 특별위원회'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주 원내대표는 "행정수도 이전은 뜬금없는 논의"라며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문제와 인천 상수도 유충 문제, 집값 폭등 문제 등이 생기니까 이슈를 전환하기 위해 제기한 문제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생각도 주 원내대표와 비슷하다.

김 위원장은 23일 "국민들의 원성이 높아지고 대통령 지지율이 급락하니까 급기야 내놓는 제안"이라며 "과연 정상적 정책인가 의심스럽다"고 논의할 가치조차 없다는 태도를 보였다.

김 위원장과 주 원내대표는 민주당의 전략에 말려들지 않기 위해 행정수도 논의 자체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온힘을 쏟는 것으로 보인다.

주 원내대표가 23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행정수도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는 당분간 의견 표명을 자제해줘야 민주당의 의도에 넘어가지 않는다”고 당부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당내에서부터 파열음이 나오고 있어 김 위원장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정진석 통합당 의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행정수도 이전으로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을 이뤄내려면 굳이 지금의 세종시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분산의 효과를 더 넓은 인근 지역까지 확대하는 것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당내 최다선인 5선 의원으로 야당 몫 국회 부의장으로도 내정됐는데 통합당에서 민주당이 주장하는 행정수도 완성보다 더 진전된 논의를 이끌어야 한다는 뜻으로 읽힌다.

당내 대선주자인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24일 “기왕에 논의를 하려면 이번엔 제대로 하자, 행정수도 완성 논의를 충청도지역 모두를 살리는 방향으로 확대하자”며 통합당이 행정수도 이전 논의를 적극적으로 주도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 위원장으로서는 당내에서 행정수도 이전 문제를 놓고 말이 나오는 것 자체가 답답한 일일 것으로 보인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행정수도 이전을 꺼내든 20일까지만 하더라도 민주당은 부동산 문제, 인천국제공항 정규직화 논란,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관련 의혹 등 연이은 악재를 만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통합당이 제21대 총선에서 대패를 당한 이후 모처럼 민주당을 향해 제대로 공세를 펼칠 기회를 잡은 듯 했다.

김 위원장은 17일 기자간담회에서 2021년 4월 치러지는 서울과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놓고 "현재로서는 유리한 것 같이 보인다"고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30%대로 떨어질 수도 있다며 '별 볼일 없는 문재인 대통령'이라는 표현까지 썼다.

하지만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정치권의 화두로 떠올라 국민의 시선을 끌면서 정국 주도권이 다시 민주당에 넘어간 모양새가 돼버렸다.

김 위원장을 더욱 고민스럽게 만드는 대목은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무작정 반대하고 외면할 수 없는 사안이라는 점이다.

국가의 수도 기능을 옮긴다는 중대한 의제인 데다가 지방에서 지지를 받는 정책이기 때문이다. 특히 다음 대통령 선거에서 중요한 지역인 충청권의 민심과 딱붙어 있는 사안이라 반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김 위원장이 행정수도 이전 논의에 참여를 결정하기도 어렵다.

행정수도 이전 논의는 한번 논의가 시작되면 사실상 모든 정국 이슈를 덮어버릴 가능성이 크다. 개헌 논의까지 이어지면 2021년 재보궐선거는 물론 2022년 대통령 선거 때까지 이 이슈가 지속될 수 있다.

민주당 실정 비판은 물론이고 통합당의 혁신을 국민에게 알려 집권세력으로 인정받는 일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 된다. 무엇보다 통합당이 아무리 잘 대응하더라도 압도적 원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민주당이 논의의 주도권을 행사하게 된다는 점도 곤혹스러운 지점이다. 

김종인 위원장의 고민이 더 깊고 길어지게 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