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 초과수하물 등 부가매출 증가와 새 항공기 도입에 힘입어 올해 실적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8일 “제주항공은 올해 부가매출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승객 1명당 단위가격이 올라 올해 영업이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주항공, 부가매출 늘고 새 항공기 도입해 올해 실적 급증할 듯]() 
제주항공은 초과수하물이나 사전 좌석 구매, 옆좌석 구매, 기내식 구매, 에어카페 등 부가매출을 통해 거둬들이는 매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1분기 부가매출 219억 원을 거뒀는데 지난해 1분기보다 33.5%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부가매출의 매출 비중이 지난해 1분기보다 0.24%포인트 커졌다.
부가매출은 80% 이상을 영업이익으로 확보할 수 있는 만큼 부가매출이 늘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항공기 보유대수가 늘어나는 점도 제주항공이 올해 매출을 늘리는 데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은 항공기 보유대수를 현재 34대에서 올해 39대까지 확대할 계획을 세웠는데 이에 따라 공급좌석 수가 20%가량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제주항공은 새 항공기를 활용해 일본과 동남아시아 노선에서 항공기 운항을 늘릴 것”이라며 “해외여행 수요의 증가에 힘입어 좌석 공급을 늘리는 만큼 항공 수요 유치가 늘어날 것”이라고 바라봤다.
국제유가 상승은 올해 제주항공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하지만 제주항공은 항공 수요 유치가 증가하는 데 힘입어 유류할증료 부과 등을 통해 수익을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항공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358억 원, 영업이익 143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24.0%, 영업이익은 40.7%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8일 “제주항공은 올해 부가매출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승객 1명당 단위가격이 올라 올해 영업이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이사 사장.
제주항공은 초과수하물이나 사전 좌석 구매, 옆좌석 구매, 기내식 구매, 에어카페 등 부가매출을 통해 거둬들이는 매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1분기 부가매출 219억 원을 거뒀는데 지난해 1분기보다 33.5%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부가매출의 매출 비중이 지난해 1분기보다 0.24%포인트 커졌다.
부가매출은 80% 이상을 영업이익으로 확보할 수 있는 만큼 부가매출이 늘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항공기 보유대수가 늘어나는 점도 제주항공이 올해 매출을 늘리는 데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은 항공기 보유대수를 현재 34대에서 올해 39대까지 확대할 계획을 세웠는데 이에 따라 공급좌석 수가 20%가량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제주항공은 새 항공기를 활용해 일본과 동남아시아 노선에서 항공기 운항을 늘릴 것”이라며 “해외여행 수요의 증가에 힘입어 좌석 공급을 늘리는 만큼 항공 수요 유치가 늘어날 것”이라고 바라봤다.
국제유가 상승은 올해 제주항공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하지만 제주항공은 항공 수요 유치가 증가하는 데 힘입어 유류할증료 부과 등을 통해 수익을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항공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358억 원, 영업이익 143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24.0%, 영업이익은 40.7%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