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 3사가 대내외 위기 상황에서도 올해 3분기까지 선방한 실적을 기록했다.
미국 정부의 한국산 철강에 대한 50% 관세 부과, 중국산 저가 공세 등의 영향으로 올해 급격한 실적 악화가 예상됐으나, 철광석 등 원재료값 하락과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 정부의 중국과 일본산 철강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결정 등에 따라 실적 급락 위기를 모면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유럽연합(EU)이 한국산 철강에 대한 쿼터를 축소하고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하는 조치를 내세우고 있는데다, 탈탄소 환경 규제에 따른 막대한 탄소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어 대외 경영환경은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자국 철강산업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도 생산량 감축은 하지 않아 세계 시장에서 중국 저가 철강 제품 확산이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당장은 위기를 모면한다고 해도 갈수록 한국 철강 산업의 구조적 위기는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정부의 좀 더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관련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포스코는 철강 부문에서 올해 3분기 매출 8조7970억 원, 영업이익 5850억 원을 기록했다.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26조7120억 원, 영업이익은 1조444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5.5%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25.5% 늘었다.
판매 가격이 하락했지만, 원료비 하락과 전체 판매량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제철은 3분기 별도기준으로 매출 4조5325억 원, 영업이익 471억 원을 거뒀다. 올해 3분기 누적 실적은 매출 13조5024억 원, 영업손실 165억 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은 4.5% 줄고, 영업손익은 적자 전환했다. 다만 올해 3분기 고수익성 제품의 매출 비중 확대로 4개 분기 만에 흑자를 기록했다.
동국제강은 3분기 매출 7692억 원, 영업이익 245억 원을 기록했다. 2025년 3분기까지 실적은 매출 2조3884억 원, 영업이익 587억 원으로 2024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1.7%, 영업이익은 48.7% 각각 줄었다.
철강 3사가 올 3분기 나란히 흑자를 기록한 데에는 정부의 반덤핑 관세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부터 중국산 후판에 최대 34.1%, 9월에는 중국과 일본산 열연강판에 최대 33.6%의 관세를 부과했다.
해당 조치 이후 후판과 열연강판의 수입량은 30~40% 가량 줄었다. 철강 업계는 내수 시장 중심으로 다시 활기를 얻었다.
다만 내년에도 중국의 저가공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미국과 EU의 고율 관세, 탈탄소 규제 강화 등의 영향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여, 중장기적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최근 한미 관세 협상이 마무리된 가운데 철강 50% 고율 관세는 유지됐다. 이로 인해 미국 철강 수출액이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미 철강 수출액은 27억8958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16% 감소했다. 지난 6월부터 미국이 수입 철강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50%로 올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하반기 대미 수출 감소 폭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EU는 지난 10월 수입 철강에 대한 관세 면제 쿼터를 기존 3053만 톤에서 1830만 톤으로 줄이기로 결정했다. 쿼터 추가 물량에 대한 관세는 기존 25%에서 50%로 올리기로 했다.
또 EU는 2026년부터 탄소국경제도(CBAM)를 통해 수입 철강에 탄소비용을 부과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내년부터 2034년까지 무상 할당을 점진적으로 폐지하며, 2034년부터 국내 철강업체는 매년 8200억 원에 달하는 비용을 탄소국경세로 지불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산 철강의 공급 과잉으로 인한 지속적 판매 단가 하락에도 중국 철강 기업들이 감산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요소다.
이에 따라 국내 정치계는 여·야가 이례적으로 뜻을 모아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하는 등 국내 철강 산업을 살리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K-스틸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내용은 수소환원제철과 녹색 전환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다.
철강 산업의 경우 탈탄소 규제를 충족하기 위한 전환 과정에서 막대한 초기 투자금이 필요해 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에서는 녹색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철강 기업의 수익성 하락을 정부의 공공 조달을 통한 수요 창출로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놓는다. 또 수소환원제철을 위해 정부의 제반 시설 관련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철 강업계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아직 K-스틸법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이라 업계에서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 철강 산업 발전을 위해 민·관이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광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철강업은 내년부터 무역 장벽으로 인한 비용 압박이 본격화할 것”이라며 “탄소배출량 저감 조치, 현지 생산 체계 구축 등 장기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미국 정부의 한국산 철강에 대한 50% 관세 부과, 중국산 저가 공세 등의 영향으로 올해 급격한 실적 악화가 예상됐으나, 철광석 등 원재료값 하락과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 정부의 중국과 일본산 철강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결정 등에 따라 실적 급락 위기를 모면했다는 분석이다.
▲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미국의 수입 철강에 대한 50% 고율 관세와 중국산 저가 공세로 올해 3분기까지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동반 감소했다. 다만 포스코는 3분기까지 영업이익을 소폭 개선했고, 현대제철도 실적을 회복하고 있다. <각사>
하지만 유럽연합(EU)이 한국산 철강에 대한 쿼터를 축소하고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하는 조치를 내세우고 있는데다, 탈탄소 환경 규제에 따른 막대한 탄소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어 대외 경영환경은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자국 철강산업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도 생산량 감축은 하지 않아 세계 시장에서 중국 저가 철강 제품 확산이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당장은 위기를 모면한다고 해도 갈수록 한국 철강 산업의 구조적 위기는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정부의 좀 더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관련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포스코는 철강 부문에서 올해 3분기 매출 8조7970억 원, 영업이익 5850억 원을 기록했다.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26조7120억 원, 영업이익은 1조444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5.5%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25.5% 늘었다.
판매 가격이 하락했지만, 원료비 하락과 전체 판매량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제철은 3분기 별도기준으로 매출 4조5325억 원, 영업이익 471억 원을 거뒀다. 올해 3분기 누적 실적은 매출 13조5024억 원, 영업손실 165억 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은 4.5% 줄고, 영업손익은 적자 전환했다. 다만 올해 3분기 고수익성 제품의 매출 비중 확대로 4개 분기 만에 흑자를 기록했다.
동국제강은 3분기 매출 7692억 원, 영업이익 245억 원을 기록했다. 2025년 3분기까지 실적은 매출 2조3884억 원, 영업이익 587억 원으로 2024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1.7%, 영업이익은 48.7% 각각 줄었다.
철강 3사가 올 3분기 나란히 흑자를 기록한 데에는 정부의 반덤핑 관세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부터 중국산 후판에 최대 34.1%, 9월에는 중국과 일본산 열연강판에 최대 33.6%의 관세를 부과했다.
▲ 동국제강은 올해 3분기까지 실적이 큰 폭으로 감소했지만, 흑자 기조를 유지하는 데에는 성공했다. <동국제강>
해당 조치 이후 후판과 열연강판의 수입량은 30~40% 가량 줄었다. 철강 업계는 내수 시장 중심으로 다시 활기를 얻었다.
다만 내년에도 중국의 저가공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미국과 EU의 고율 관세, 탈탄소 규제 강화 등의 영향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여, 중장기적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최근 한미 관세 협상이 마무리된 가운데 철강 50% 고율 관세는 유지됐다. 이로 인해 미국 철강 수출액이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미 철강 수출액은 27억8958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16% 감소했다. 지난 6월부터 미국이 수입 철강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50%로 올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하반기 대미 수출 감소 폭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EU는 지난 10월 수입 철강에 대한 관세 면제 쿼터를 기존 3053만 톤에서 1830만 톤으로 줄이기로 결정했다. 쿼터 추가 물량에 대한 관세는 기존 25%에서 50%로 올리기로 했다.
또 EU는 2026년부터 탄소국경제도(CBAM)를 통해 수입 철강에 탄소비용을 부과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내년부터 2034년까지 무상 할당을 점진적으로 폐지하며, 2034년부터 국내 철강업체는 매년 8200억 원에 달하는 비용을 탄소국경세로 지불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산 철강의 공급 과잉으로 인한 지속적 판매 단가 하락에도 중국 철강 기업들이 감산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요소다.
이에 따라 국내 정치계는 여·야가 이례적으로 뜻을 모아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하는 등 국내 철강 산업을 살리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K-스틸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내용은 수소환원제철과 녹색 전환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다.
철강 산업의 경우 탈탄소 규제를 충족하기 위한 전환 과정에서 막대한 초기 투자금이 필요해 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에서는 녹색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철강 기업의 수익성 하락을 정부의 공공 조달을 통한 수요 창출로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놓는다. 또 수소환원제철을 위해 정부의 제반 시설 관련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철 강업계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아직 K-스틸법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이라 업계에서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 철강 산업 발전을 위해 민·관이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광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철강업은 내년부터 무역 장벽으로 인한 비용 압박이 본격화할 것”이라며 “탄소배출량 저감 조치, 현지 생산 체계 구축 등 장기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