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KT 소액결제 해킹 사태가 최소 8월 초부터 시작됐으나 회사 측의 대응 실패로 피해가 확산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T가 파악한 8월5일부터 9월3일까지 피해 고액 278명의 결제 건수는 모두 527건이다.
 
민주당 황정아 "KT 소액결제 해킹 8월 초 이미 발생, 대응 실패로 피해 확산"

▲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은 17일 KT 소액결제 해킹 사태가 최소 지난 8월 초부터 발생했으나 대응 실패로 피해가 확산했다고 주장했다. <황정아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피해는 모두 16일에 걸쳐 발생했는데 최초 발생일인 8월5일로 사건이 언론 보도로 최초 알려지기 시작한 시점보다 한 달이나 앞서 있다.

8월5일부터 20일까지 한 자릿수대에 머물던 소액결제 해킹 건수는 8월21일과 8월26일에는 각각 33건, 27일에는 106건으로 급증했다.

이후에도 결제 건수는 두 자릿수에서 오르내려 뚜렷이 늘어난 추세를 보였다. 

황 의원은 8월21일을 기점으로 피해 규모가 확대된 점을 들어 해커들이 사전에 예행 연습을 거쳤다는 추측도 제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황 의원은 KT가 9월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소액결제 피해 분석을 요청받았으나, 제대로 대응하지 않아 실제 9월 2일과 3일 피해 건수만 109건에 달했고, 피해를 더 키웠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소 8월5일부터 이상 신호가 있었는데, KT의 축소·은폐 시도로 피해가 막대해졌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즉각적 전수조사를 통해 피해 상황을 국민께 소상히 보고하고, 축소·은폐 행위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막대한 경제적 제재를 가해야 재발 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