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이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사업을 접을까.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사업은 권오준 전 회장이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며 야심차게 추진한 사업이지만 기술 문제 등에 발목이 잡혀 실적을 갉아먹는 아픈 손가락이 됐다. 
최정우, 포스코에너지 ‘아픈 손가락’ 연료전지사업 접을까

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


15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에너지가 2015년 이후 연료전지사업에서 ‘개점휴업’ 상태를 이어가면서 최 회장이 연료전지사업에 칼을 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 회장은 7월27일 열린 취임식에서 에너지부문을 놓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LNG(액화천연가스)터미널 같은 사업은 국내외에서 발굴하는 한편 부진사업은 조속히 정리하겠다”고 말했는데 에너지부문의 대표적 부진사업이 바로 연료전지사업이기 때문이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 시스템이다. 연료전지사업은 2014년 권오준 전 회장이 취임 당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꼽기도 했다. 

하지만 포스코에너지는 2014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 연료전지사업에서 적자행진을 이어가면서 이 부문에서만 영업손실을 3천억 원 넘게 봤다.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인 스택에 기술 문제가 발생하면서 이를 보상하는 데 막대한 비용을 쓰게 되자 포스코에너지는 2015년 하반기부터 연료전지사업 수주활동을 멈췄다. 포스코에너지가 만든 스택의 수명이 보증기간보다 크게 짧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이를 교환해주느라 영업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포스코에너지의 국내 연료전지설비시장 점유율도 급격하게 쪼그라들었다.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시장 점유율은 2014년 90%에서 올해 1분기 58%로 줄었는데 포스코에너지보다 후발주자인 두산에게 조만간 따라잡힐 상황에 몰렸다.  

이 때문에 포스코에너지는 해마다 몇 번씩이나 연료전지사업 철수설에 시달리곤 했다. 

올해 6월에도 포스코에너지와 연료전지사업에서 양해각서를 체결했던 미국 퓨어셀에너지가 계약기간 만료에 따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사업을 철수하려고 한다”고 적으면서 매각설이 또 불거졌다. 

하지만 그때마다 포스코에너지는 공식적으로 “연료전지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자 유치 등을 여러 각도에서 진행하고 있다”며 “사업에서 철수하는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사업 정리 가능성을 극구 부인하는 것은 이 사업부를 철수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후폭풍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연료전지사업을 중단하면 손실금액이 1조 원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바라본다. 더군다나 이 사업에는 정부 자금도 수천억 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된다. 

연료전지사업을 주도한 권 전 회장으로서는 섣불리 이 사업에서 손을 뗀다고 말할 수 없는 입장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최 회장은 입장이 다르다. 

포스코그룹의 구조조정을 강력하게 추진한 공로를 인정받아 회장에 오른 데다 권 전 회장과 거리를 둘 필요도 있는 만큼 연료전지사업에서 손을 뗄 만한 명분이 충분히 있다.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사업에서 손을 떼고 있다는 정황은 이미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인력이 2015년 600여 명에서 현재 절반 넘게 줄었을 뿐 아니라 연료전지 생산능력 역시 연간 100MW(메가와트) 정도에서 유지보수용 생산라인마저 10MW 규모로 축소된 것으로 파악된다.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활용해 발전소를 지으려 사업허가를 받아뒀던 10여 건의 발전사업들도 사실상 중단됐다.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을 뿐 권 전 회장 체제에서도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사업은 사실상 정리 수순에 들어가 있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최 회장이 연료전지사업의 정리를 선언할 수 있는 조건은 이미 갖춰진 셈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