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미국 연준은 현지시각 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금리인하 압박에도 올해 1월과 3월에 이어 3번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이에 한국(2.75%)과 미국의 금리차이는 상단 기준으로 1.75%포인트를 지속하게 됐다.
연준은 성명문을 통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경제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고 동결 이유를 설명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FOMC 뒤 기자회견에서 “관세가 언제, 어디에, 어떻게 적용될지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관세 인상이 지속되면 물가 상승, 경기둔화, 고용시장 위축 등을 야기할 수 있는 만큼 정책 결정을 서두루지 않고 인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인하 요구에 관해서는 “연준의 직무 수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다. 박혜린 기자
미국 연준은 현지시각 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현지시각 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뒤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금리인하 압박에도 올해 1월과 3월에 이어 3번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이에 한국(2.75%)과 미국의 금리차이는 상단 기준으로 1.75%포인트를 지속하게 됐다.
연준은 성명문을 통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경제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고 동결 이유를 설명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FOMC 뒤 기자회견에서 “관세가 언제, 어디에, 어떻게 적용될지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관세 인상이 지속되면 물가 상승, 경기둔화, 고용시장 위축 등을 야기할 수 있는 만큼 정책 결정을 서두루지 않고 인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인하 요구에 관해서는 “연준의 직무 수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