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청문회 문턱을 넘자마자 특검을 앞두고 있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2008년 특검 이후 8년 만에 다시 특검을 받게 된 삼성그룹을 비롯해 롯데그룹, SK그룹, CJ그룹 등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해 새해 경영계획을 짜는 데도 상당한 차질이 예상된다.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수석 대변인은 12일 국회 브리핑에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몸통은 박 대통령”이라고 강조하며 특검이 박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철저히 할 것을 촉구했다.
|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서 증인선서하고 있다.<뉴시스> |
윤 수석대변인은 "먼저 특검은 삼성그룹 SK그룹 롯데그룹 등 재벌들이 미르와 K스포츠에 수백억 원을 출연한 것과 관련해 박 대통령의 제3자 뇌물죄 혐의를 입증하는 데 우선 집중해야 한다"며 "이 사안에 비선실세 국정농단의 핵심과 대한민국의 모든 적폐가 담겨있음은 물론이고 이를 통해 정경유착의 고리를 확실하게 끊어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박영수 특검수사팀은 이날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마련한 사무실에 입주를 시작했으며 다음주부터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한다.
11월30일부터 20일 동안 준비기일을 거쳐 70일 동안 수사가 이뤄지며 1회에 한해 30일 동안 수사를 연장할 수 있다. 최장 120일까지 수사가 가능한 점을 고려하면 내년 3월 말까지 특검수사가 진행되는 셈이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됐고 헌법재판소가 공을 넘겨받아 심판에 착수한 만큼 특검수사도 속도도 가팔라지고 강도도 더욱 세질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게이트에 연루된 기업들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삼성그룹은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해 미래전략실 최지성 부회장과 장충기‧김종중 사장, 삼성전자 박상진 사장, 삼성물산 김신‧최치훈 사장 등 최고경영진들이 대거 특검 수사선상에 올라있다.
이재용 부회장은 청문회에 증인 출석해 미래전략실 해체를 약속하기도 했으나 급한 불부터 끄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에 대비해 변호인단 구성 등을 미래전략실 소속 법무팀이 중심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삼성그룹 전체 법무팀은 3분기 기준 사장이 2명, 부사장급 9명, 전무 11명, 상무급 27명 등 임원급만 49명에 이르는 조직이다. 웬만한 로펌 뺨치는 데다 이에 더해 외부 유명 로펌 소속 변호사들도 대거 합류시켜 초호화 변호인단을 꾸릴 것으로 관측된다.
김상균 삼성전자 법무실장(사장)과 성열우 법무팀장(사장)이 나란히 1,2인자로 꼽힌다. 김 실장과 성 팀장은 각각 사법고시 23회, 28회에 합격해 부장판사까지 지냈다. 둘 다 2005년 삼성에 영입됐다. 김 실장은 김용철 변호사가 2007년 삼성비자금을 폭로한 뒤 물러나게 되면서 법무팀장을 맡았는데 2008년 삼성특검에서 ‘방패’ 역할을 해냈던 셈이다.
|
|
|
▲ 김상균 삼성전자 법무팀장 사장. |
삼성그룹 비자금 사건만을 다뤘던 8년 전과는 다르지만 이번 특검에서도 관련 정도와 심각성에 비춰볼 때 기업을 중심으로 본다면 사실상 ‘삼성특검’과 다르지 않을 수 있다. 국회 청문회도 재벌총수 9인이 불려나왔으나 사실상 ‘이재용 청문회’가 됐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 부회장은 청문회에서 재단 지원금 출연 결정, 최순실씨 모녀 승마활동 지원, 삼성물산 합병 당시 국민연금의 찬성배경 등 의원들의 끈질긴 질문에 '모르쇠'로 일관하며 "어쩔 수 없는 사정"이 있었다고 증언해 의구심을 더욱 키웠다.
특검팀은 대기업들의 대가성 기금출연 의혹을 원점부터 재조사할 것을 천명했다. 수사팀 내부에 대기업전담팀이 꾸려지면 재계 총수들에 대한 재소환 가능성도 점쳐진다.
삼성그룹 외에도 특검수사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곳으로 롯데그룹, SK그룹, CJ그룹이 우선적으로 꼽힌다. 세 그룹 모두 법무팀 중심으로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데 롯데그룹은 '김앤장', SK그룹은 '지평'과 각각 공조체계를 꾸린 것으로 전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