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전자 등기이사에 이름을 올린 지 일주일여 만에 삼성그룹 서초사옥이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는 최악의 상황에 놓이게 됐다.
검찰이 ‘삼성-최순실-청와대’의 삼각 커넥션에 칼끝을 겨누고 있어 이 부회장이 검찰에 출두해 조사를 받게 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9일 “삼성 미래전략실 등 분위기는 평소와 다름없다”며 "이재용 부회장의 소환조사는 검찰이 알아서 판단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지난 27일 삼성전자 이사회에서 등기이사로 선임됐다. 경영전반에 대한 공식책임도 피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책임경영을 통해 갤럭시노트7 단종사태에 따른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데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많았다.
하지만 등기이사에 이름을 올린지 불과 일주일여 만에 최순실 게이트라는 악재에 직면했다.
검찰은 지난 8일 삼성전자를 압수수색하는 등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된 기업들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필요한 경우 총수도 소환조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그룹의 경우 미르와 K스포츠에 가장 많은 지원금을 내놓은 것 외에도 삼성전자가 최순실씨의 딸 정유라씨의 승마후원을 위해 280만 유로(35억 원)을 지원한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다.
만약 이번 사태가 이 부회장으로 불똥이 튈 경우 삼성특검으로 이건희 회장이 검찰수사를 받았던 악몽이 8년 만에 다시 되풀이되는 셈이다.
검찰은 삼성전자가 최씨 모녀에게 거액을 지원하면서 사업지원의 대가를 바란 것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비선실세에 줄을 대 삼성그룹의 방산계열사 매각,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등 지배구조 개선 등에서 정부쪽 지원을 기대했던 건 아니냐는 것이다.
이 부회장은 2014년 5월 이건희 회장의 와병 이후 사실상 그룹 경영을 이끌어왔다. 그해 한화그룹에 2조 원 규모의 4개 방산계열사를 매각한 것도 이 부회장의 결정이란 게 재계의 중론이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은 이 부회장의 지배력 강화와 직결된 사안이기도 하다.
|
|
|
▲ 검찰이 8일 박근혜 정부의 비선실세 최순실 씨 의혹과 관련해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품을 들고 차량에 싣고 있다.<뉴시스> |
검찰이 지난 8일 삼성그룹의 심장부인 미래전략실 일부까지 압수수색을 벌인 것도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자금의 성격이 대가성으로 드러날 경우 삼성그룹 역시 뇌물공여죄로 형사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삼성그룹의 불법적 행위가 확인될 경우 이 부회장의 처벌 가능성을 놓고는 의견이 갈린다.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삼성전자 등기이사를 맡은 시점이 10월27일인 만큼 최순실씨 관련 법적 책임을 묻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상반되는 시각도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7월 박 대통령과 비공개로 진행된 것으로 알려진 7대 그룹 총수면담에 삼성그룹을 대표해 참석한 것으로 나타나 등기이사 등재와 관계없이 사실상 삼성그룹 총수 역할을 해왔던 만큼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법조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국민적 여론이 집중되고 있고 대통령 수사까지 거론되고 있는 만큼 검찰의 수사의지와 강도에 따라 처벌대상이나 수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며 "삼성그룹의 상징성과 위상, 또 이번 사태에 연루된 정도 등을 고려할 때 검찰이 이 부회장을 정조준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재계 관계자는 “스마트폰 발화사고와 단종이라는 유례없는 악재가 수습되기도 전에 삼성특검 이후 8년 만에 검찰수사까지 겹치면서 이재용 체제가 개막과 동시에 호된 시련을 맞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