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이 사상 최대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보험9월 말 현재 보험·증권·여신전문금융사(카드사·캐피털사)·저축은행·상호금융 등 비은행권(2금융권) 금융사의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는 115조5천억 원에 이른다.
▲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금융사의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는 115조5천억 원에 이른다.
2017년 말 익스포저 수준을 100으로 가정하고 현재 업권별 익스포저를 지수로 환산하면 △여신전문금융사 432.6 △저축은행 249.8 △보험사 204.8 △증권사 167.0 등으로 5년 전보다 익스포저가 각각 4.33배, 2.50배, 2.05배, 1.67배 증가했다.
2금융권의 부동산 PF 연체율도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3.7%에서 지난해 9월 말 8.2%로 2.2배 뛰었다. 같은 기간 여신전문금융사는 0.5%에서 1.1%로, 저축은행은 1.2%에서 2.4%로, 보험사는 0.1%에서 0.4%로 연체율이 상승했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연체율이 2018년 12월 이후 약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만 저축은행업계에서는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PF 대출 심사를 강화해 2금융권의 다른 업권과 비교해 저축은행의 부실 위험이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저축은행은 PF 사업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할 수 있는 차주(대출받는 사람)에만 PF 대출을 실행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대출이 부실화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4일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부동산PF와 관련해) 너무 쏠림이 생기거나 일시에 리스크가 발생해 특정 기업·건설사의 ‘트리거 포인트’로 작용하지 않도록 리스크 분산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의 부동산 PF 대출도 2020년 이후 부동산 시장 활황과 저금리 환경 속에서 크게 불어난 상태로 파악된다.
연합뉴스가 취합한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4조6645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 말(9조2532억 원)과 비교하면 불과 2년 사이 58.5% 늘어난 것이다.
시중은행은 PF 대출 문턱이 2금융권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부실 위험이 덜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만일에 대비해 은행 직원들을 현장 실사에 보내고 분양률을 점검하는 등 선제적 관리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