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은행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대 초반으로 올려 잡았다.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5월 발표한 전망치인 4.5%보다 0.7%포인트 높인 5.2%로 제시했다.
이는 1998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9%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올린 것은 6%를 넘고 있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4%대에 이르는 기대인플레이션 등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낮아질 수 있겠지만 근원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면서 상당기간 5~6%대의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대한 전망은 기존 전망치인 2.7%에서 2.6%로 낮춰 잡았다.
한국은행은 국내경제가 소비 개선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하반기 이후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을 받아 수출 둔화 폭이 점차 확대되면서 성장흐름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은행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7%, 내년 경제성장률을 2.1% 수준으로 예측했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올해 370억 달러, 내년 340억 달러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됐다. 무역수지 적자흐름이 이어지면서 흑자규모가 크게 축소될 것으로 예상됐다. 조승리 기자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5월 발표한 전망치인 4.5%보다 0.7%포인트 높인 5.2%로 제시했다.

▲ 한국은행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대 초반으로 올려 잡았다. 사진은 서울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이는 1998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9%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올린 것은 6%를 넘고 있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4%대에 이르는 기대인플레이션 등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낮아질 수 있겠지만 근원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면서 상당기간 5~6%대의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대한 전망은 기존 전망치인 2.7%에서 2.6%로 낮춰 잡았다.
한국은행은 국내경제가 소비 개선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하반기 이후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을 받아 수출 둔화 폭이 점차 확대되면서 성장흐름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은행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7%, 내년 경제성장률을 2.1% 수준으로 예측했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올해 370억 달러, 내년 340억 달러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됐다. 무역수지 적자흐름이 이어지면서 흑자규모가 크게 축소될 것으로 예상됐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