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산업은행 노동조합이 조선·해양업계의 대규모 부실사태 책임을 청와대 ‘서별관회의’에게 물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산업은행 노동조합은 1일 성명을 내 “감사원이 금융감독원과 국책금융기관을 대상으로 ‘기업금융 리스크 실태 점검’이라는 목적으로 전방위 특별감사를 실시하려 하는데 이는 번지수를 잘못 찾은 것”이라고 반발했다.
|
|
|
▲ 24일 KDB산업은행에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원들이 산업은행의 성과연봉제 도입을 반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
감사원은 5월 초부터 금융감독원과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무역보험공사,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6개 국책금융기관에 대해 감사를 진행하고 있다.
산업은행 노조는 감사원들이 가장 먼저 비공개 경제정책협의회인 ‘서별관회의’ 참석자부터 감사할 것을 요구했다.
서별관회의는 청와대 경제수석과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 한국은행 총재 등 장관들이 참석해 경제와 금융 관련 중요 사안 등을 다루는 비공개 경제정책협의회다.
산업은행 노조는 “지난해 산업은행을 포함한 대우조선해양 채권단이 대우조선해양에 4조2천억 원을 지원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한 곳이 서별관회의”라며 “최경환 당시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인종범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 임종룡 금융위원장 등 힘 있는 자들의 의사결정을 누구도 심판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산업은행 노조는 성과연봉제 도입에 대해서도 강도높게 비판했다.
노조는 “서별관회의는 6개월 전 수조 원의 세금을 낭비한 사실을 잊은 채 산업은행 성과연봉제 도입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조선·해양업계 부실의 책임 문제를 핑계로 국책은행 자본확충이 필요하다는 대국민 사기극을 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산업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24%로 대우조선해양이 회생절차를 밟아도 여력이 있는 상황”이라며 “산업은행 전 직원들이 자본확충 자체가 필요없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이를 빌미로 성과연봉제 도입을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손효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