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국비 지원분에 지방비 등을 더해 올해 541억 원을 투입해 청년 일자리 2620개를 만들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대구시는 지난 11일 행정안전부가 공모한 ‘2021년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에서 국비 271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국 두 번째이자 시 가운데 첫 번째 규모이다. 이 돈에 지방비를 더해 2620개의 일자리 만들기에 나선 것이다.
대구시는 코로나19로 인해 산업구조 전환속도가 빨라진 상황에 발맞춰 비대면, 디지털분야 중심으로 청년일자리사업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일자리와 디지털 창업을 뼈대로 하겠다는 것이다.
세부계획으로 △34세 이하 청년 146명에게 대구도시공사, 대구경북디자인센터,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등 지역 공공기관의 디지털직무 일자리를 제공하는 ‘디지털 청년인재 등용문’ △디지털, 정보기술(IT),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전공자 및 국가공인 자격증을 지닌 청년 174명을 지역 중소·창업기업에서 일하게 하며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 ‘벤처 디지털뉴딜 지원’ △자동화를 통한 산업현장의 생산효율을 높이는 소프트웨어업무 인력 150명을 선발해 키우는 ‘로봇 프로세스자동화 융합인재 직업훈련’ 등을 마련했다.
대구시는 비대면 디지털 청년 일자리에서 일하게 된 청년들에게 월 160만 원의 인건비를 기업에 지원한다.
권영진 시장은 “코로나19 장기화와 청년의 지역유출 심화로 어려운 여건 속에 청년 2620명이 지역에서 꿈을 실현할 수 있게 다양한 사업을 준비했다”며 “새로운 디지털시대를 선도할 미래 핵심인재 양성에 중점을 두고 신규고용을 주저하는 기업 부담도 덜어 지역청년들이 양질의 새로운 일자리에서 일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권 시장은 인재육성과 함께 대구 테크노파크를 통해 지역산업의 디지털화도 앞장서고 있다.
대구시와 대구 테크노파크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으로 2021년 300억 원의 국비와 65억 원의 시비를 투입해 지역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대부분의 공장이 자동화 수준에서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어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집중할 계획을 세웠다.
권 시장이 지역인재 육성의 방향을 비대면 디지털역량 강화로 잡은 것은 대구지역이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디지털화에 뒤처졌다는 평가가 나오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2020년 ‘코로나19 이후 경제활동 변화에 따른 대구경북지역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대구 지역이 비대면 디지털기반이 다른 지자체보다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대구지역의 소비 부문만 봐도 소상공인의 전자상거래 이용비중은 3.5%로 광역시 평균 이용률(6.3%)보다 낮다. 제조업부문도 아날로그 생산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스마트공장으로 가는 초기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한국은행은 대구지역 산업계가 스마트제조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비교적 낮고 투자이익에 관한 확신도 부족한 것을 원인으로 꼽았다.
대응방안으로 소비부문은 소비자와 지역소상공인을 연결할 온라인 플랫폼 개발을 지원, 운영하고 이를 뒷받침할 인력을 키워야 한다고 권고했다. 제조부문은 인력과 장비 등 스마트공장 인프라를 재정비해 영세 중소업체의 자동화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스마트공장을 유지 보수할 스마트제조 솔루션 공급기업도 양성해야 한다고 봤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12일 대구 시정소식지를 통해 “지역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를 통해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제조혁신 도시로 거듭나겠다”며 “디지털인력과 장비 등 인프라 지원시책을 지속적 발굴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