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케이락과 이엠코리아가 정부의 수소차 보급과 수소 충전인프라 활성화정책에 힘입어 사업 확대의 기회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16일 증권업계와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정부가 수소차 보급, 수소충전 인프라 확충 등 내용이 담긴 그린 모빌리티를 한국판 뉴딜의 10대 대표과제 가운데 하나로 선정하면서 관련 산업의 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노은식 디케이락 대표이사(왼쪽)와 강삼수 이엠코리아 대표이사. |
정부는 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분야에 국비 13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는데 이는 그린뉴딜 세부과제 가운데 가장 큰 금액이다.
사업비를 활용해 2025년까지 수소차 20만 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 450개 소를 설치하게 된다. 정부는 수소차 연료전지시스템 기술 개발 등 투자를 통해 국내 자동차부품기업이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9일 정부가 내놓은 2021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수소차 등 미래 모빌리티 11만6천 대를 보급하기 위해 1조6천억 원을 우선 투입한다.
정부가 수소차 보급과 수소 충전인프라 확충에 힘을 실으며 수소산업 관련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디케이락은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등 산업설비 배관에 설치되는 핵심 부품을 생산한다.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등 수소연료전지 제작기업에 수소연료전지용 피팅과 밸브를 공급하고 있다.
2020년 하반기 수소충전소에서 사용되는 핵심부품인 700bar급 초고압 밸브의 국산화도 앞두고 있다. 지금까지 700bar급 초고압 밸브는 미국 스웨즈락, 일본 후지킨 등 외국 제품에 100% 의존해 왔다.
현재 디케이락은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브랜드 ‘넥쏘’에 부품 8가지를 공급하고 있는데 2019년 7천 대 규모에서 2020년에는 최대 1만8천 대 규모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임상국 KB증권 연구원은 “디케이락은 수소전기차 및 수소충전소 등 그린뉴딜 신성장 제품 라인업이 매력적”이라며 “최근 넥쏘로부터 달마다 2천~2500대 규모의 수주를 확보하는 등 수소차 성장이 가파르게 전개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엠코리아는 수전해 기술을 바탕으로 자회사 이엠솔루션을 설립해 수소충전소를 건설하고 운영하고 있다.
수전해 기술은 물을 전기분해해 직접 수소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기술로 평가된다.
이엠코리아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자회사 이엠솔루션은 국내 최대 규모의 수전해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P2G(Power to Gas, 에너지 저장기술) 전문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2019년 말 기준 전국 수소충전소는 26개 수준으로 집계됐는데 이엠솔루션은 2019년에만 수소충전소 8개를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주 규모는 170억 원가량이다.
이엠솔루션은 ‘2040 수소 중심 새로운 창원’ 비전을 발표한 창원시와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정부 한국판 뉴딜정책에 발맞춰 이엠솔루션이 그린수소 분야에서 선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 측면에서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주택단지 조성 등 지자체 차원의 수소도시 구축 수요도 확대될 것”이라며 “이엠코리아의 사업영역 확대 여지도 높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도 7월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수소경제위원회를 출범하고 첫 번째 회의를 주재하는 등 수소경제 실현에 힘을 쏟고 있다.
수소경제위원회는 수소경제법에 따라 수소경제 기본계획을 세우고 시행·점검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정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수소경제위원회는 산업통상자원부 등 8개 정부부처 장관과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수석부회장,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 등이 민간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정 총리는 “수소경제로 전환은 우리 세대에게 부여된 의무이자 기회”라며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국에 이르도록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그린뉴딜 주무부처 가운데 하나인 환경부는 10일 수소충전소의 구축에 속도를 내기 위해 ‘수소충전소 정책 협의회’를 구성하기도 했다.
최종원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협의회를 통해 관련 기관들이 긴밀하게 협력해 그린뉴딜의 핵심과제인 수소충전소 구축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예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