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자동차 타이어 수입이 크게 늘었다.

수입차 판매가 늘고 소비자들의 수입 타이어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산 타이어도 낮은 가격을 무기로 판매를 늘리고 있다.

  타이어 수입 급증, 수입차 늘고 수입 타이어 선호도 높아진 탓  
▲ 독일 콘티넨탈 타이어.
4일 타이어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자동차 타이어 수입은 373만 개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9.9% 늘었다.

수입액도 2억3100만 달러로 1.1% 증가했다.

승용차용 타이어는 전체 자동차 타이어 수입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올해 상반기 승용차용 타이어 수입은 수입차 판매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8.9% 증가한 268만 개에 이른다.

산업과 농경용 타이어 수입도 올해 상반기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산업과 농경용 타이어 수입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63.4% 늘어난 30만 개로 집계됐다.

수입 타이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중국산 제품이었다.

중국산 타이어는 올해 상반기 188만 개 수입돼 전체 수입물량의 50.3%를 차지했다. 중국산 타이어는 자동차 제조업체의 신차용 타이어 수요 증가로 지난해 상반기 보다 수입물량이 5% 늘었다.

미국산과 독일산 타이어는 올해 상반기 각각 20만4천 개와 26만1천 개가 수입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각각 76.7%, 206.7% 급증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수입차 판매가 늘어난 데다 국산차 운전자들의 수입 타이어 선호도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도 올해 말 출시 예정인 최고급 대형 세단 에쿠스 신형 모델에 한국타이어 제품 대신 미쉐린, 콘티넨탈 등 수입 타이어를 장착하기로 했다. 1999년 1세대 에쿠스가 나온 뒤 국산 타이어를 에쿠스에 채택하지 않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초 현대차 고급 세단 제네시스에 장착한 한국타이어의 18, 19인치 ‘벤투스 S1 노블2’ 제품을 둘러싸고 타이어 결함 논란이 일었다. 일부 제네시스 운전자들 사이에서 타이어 한쪽 측면이 마모돼 공명음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때문에 현대차는 제네시스 4만3천 대에 장착한 한국타이어를 모두 독일산 콘티넨탈 타이어 등으로 교체해주고 있다.

현대차는 올해 3월 출시한 2015년형 제네시스부터는 콘티넨탈 타이어와 프랑스산 미쉐린 타이어 등 수입 타이어만 쓰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산 중대형차의 경우 국산 타이어를 장착해 판매하면 고객이 다시 수입 타이어로 바꾸는 경우가 많아 현대차 등이 아예 수입 타이어를 장착해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