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들이 카드 수수료 인하로 올해 어느 때보다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들은 2월 카드 수수료 인하를 앞두고 모집인 등을 대상으로 대규모 인력 감축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 20일 카드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2월부터 시작되는 카드수수료 인하로 카드사는 매년 약 8천억 원의 영업이익이 줄어든다. |
20일 카드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2월부터 시작되는 카드 수수료 인하로 카드사는 매년 약 8천억 원의 영업이익이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위원회는 카드사들과 함께 ‘카드산업 건전화 및 경쟁력 제고 태스크포스’를 만들고 대책을 논의하고 있지만 이렇다 할 해법이 나오지 않고 있다.
금융위는 부가 서비스 축소와 과당경쟁 개선 등 카드사 수익구조 합리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반면 카드사는 은행이나 캐피탈회사들보다 낮게 설정된 카드사 레버리지 기준의 상향 등 규제 완화를 주장하고 있어 의견 차이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카드사 레버리지 규제는 2012년 여신전문금융회사가 외형 확대 위주로만 경영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에 따르면 카드사는 자산이 자기자본의 6배를 넘어서는 안 된다.
카드사들은 시중은행이나 캐피탈회사가 10배를 기준으로 삼고 있는 점을 감안해 이를 상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카드사들은 이미 레버리지 비율이 한계에 도달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롯데카드가 5.96배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카드 5.76배, 하나카드 5.27배로 뒤를 이었다.
KB국민카드와 BC카드, 현대카드의 레버리지 비율도 5배를 넘어섰다.
카드사가 금융위와 합의를 통해 대책을 찾지 못한다면 비용 감소를 위해 인력 구조조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들은 최근 꾸준히 실적이 하락한 탓에 인력 감축을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다.
KB국민카드는 2일까지 모든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았다. 현대카드는 400명의 인력감축이 필요하다는 경영진단 결과가 나와 이와 관련된 대책을 세우고 있다.
이대로라면 업계 1위인 신한카드조차 실적 악화로 인력을 줄일 가능성이 높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인력 감축이 이뤄진다면 가장 큰 폭으로 줄일 부문은 카드 모집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카드 모집인은 대부분 ‘기본급+수당’ 형태의 임금을 받고 있어 퇴직금 등이 적게 발생하는 데다 카드사들이 비대면 채널을 강화하고 있어 카드 모집인의 수요도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 인력 감축이 본격화되면 비정규직인 카드 모집인이 가장 큰 피해를 볼 것”이라며 “카드사들이 마련한 비상계획안 대부분에 카드 모집인을 20% 가까이 줄인다는 내용이 들어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